본문바로가기
발음
[부리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어떤 물건의 끝이 뾰족한 부분.
소매의 부리.
총의 부리.

역사 정보

부으리(15세기~17세기)>부우리(15세기~17세기)>부리(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리’의 옛말인 ‘부으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부으리’는 제2음절 모음 ‘ㅡ’가 제1음절 모음 ‘ㅜ’의 영향으로 ‘ㅜ’로 변한 ‘부우리’, 동일 모음의 반복으로 제1음절과 제2음절이 축약된 ‘부리’가 모두 15세기에 공존하였다. 17세기에도 ‘부으리, 부우리’가 나타나는데 이들은 중간본 ≪두시언해≫에서만 나타난다. 이는 초간본의 영향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부으리, 부우리’는 15세기에 이미 그 세력이 상당히 약화된 상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부리’가 남아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부으리, 부우리, 부리
세기별 용례
15세기 : (부으리, 부우리, 부리)
나못 거프를 들우며 서근  디구메 부으리 무딀 니 ≪1481 두시-초 17:6ㄱ
아 비치 돇 부우리로 혼  들여 ≪1481 두시-초 22:1ㄱ
揵叔迦 옛말로 鸚鵡寶ㅣ니 블구미 그 부리 니라 ≪1459 월석 18:73ㄴ
16세기 : (부리)
부리  ≪1527 훈몽 하:3ㄴ
17세기 : (부으리, 부우리, 부리)
드믄 이로 可히 헤디러 나면 부으리와 바톱괘 도로 돗글 더레이리라 ≪1632 두시-중 17:13ㄴ
아 비치 돇 부우리로 혼 창의 들어 ≪1632 두시-중 22:1ㄱ
귿튼 새 부리 라 안흐로 向케 야 ≪1632 가언 1:39ㄴ
18세기 : (부리)
 긴 독 조븐 부리 안  술 담은 거시여 ≪1765 박신 1:40ㄴ
19세기 : (부리)
부리 喙 ≪1880 한불 344

관용구·속담(1)

관용구부리가 잡히다
종기가 곪느라고 한가운데가 뾰족해지다.
  • 이제야 종기가 부리가 잡혔으니 곪은 것을 짜내야겠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