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삼꺼욷]
활용
삼거웃만[삼꺼운만]
품사
「명사」
「001」삼 껍질의 끝을 다듬을 때에 긁히어 떨어진 검불. 찰흙으로 사람의 형상을 만들 때 흙에 넣어 버무려 쓴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삼울(17세기~18세기)>삼거울(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삼거웃’의 옛말인 ‘삼울’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삼’과 속격 조사 ‘ㅅ’이 결합한 ‘삼ㅅ’에 뜻이 정확하지 않은 ‘거울’이 결합한 것이다. 복합어에 쓰인 ‘거울’은 아마도 “보풀보풀한 식물의 껍데기나 털”의 뜻으로 현재의 ‘거웃’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삼울’은 ‘삼올’로도 쓰였는데 이것은 근대 국어 시기에 ‘ㅗ’와 ‘ㅜ’가 교체되던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삼울, 삼올
세기별 용례
17세기 : (삼울, 삼올)
삼울을다가  번의 섯기 고로게 라 ≪1677 박언 하:5ㄴ
麻刀 삼올1690 역해 하:10ㄱ
18세기 : (삼울)
이러면 밧비 회와 삼울을 사라 가라 ≪1765 박신 3:10ㄱ
삼울을다가 버무려 고로게 고 ≪1765 박신 3:10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