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먼저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시간적으로나 순서상으로 앞선 때.
먼저의 일은 네가 이해해라.
이번에도 먼저와 같이 처리하면 된다.
그녀의 말투는 먼저보다 훨씬 부드러워졌다.
김광국도 감격한 얼굴로 다가오는 탱크 행렬을 향해 총 든 손을 흔들었다. 그러다가 누가 먼저라 할 것도 없이 우르르 능선을 내려가기 시작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정순이와 영숙이도 먼저보다 훨씬 대담하게 고개를 들어 내 얼굴을 바라보곤 했다.≪김동리, 까치소리≫
사내는 송구스러운 기색을 띠며 한 번 더 어긋난 뼈끝을 손가락으로 가리켜 준 다음, 먼저처럼 조심해서 있던 자리에 도로 내려놓았다.≪이문구, 장한몽≫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몬져(15세기~19세기)>먼져(18세기~19세기)>먼저(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먼저’의 옛말인 ‘몬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 모음 ‘ㅗ’가 ‘ㅓ’로 바뀌어 ‘먼져’로 나타나면서 ‘몬져’와 ‘먼져’가 19세기까지 공존하였다. 치음이던 ‘ㅈ, ㅊ’가 18세기 이전에 경구개음으로 변하여 ‘져’와 ‘저’의 소리가 같아졌다. 그리하여 19세기에 ‘먼져’의 제2음절 모음이 단모음 ‘ㅓ’로 바뀌어 ‘먼저’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몬져, 몬저, 몬뎌, 몬졔, 몬쳐, 몬제, 먼저, 먼져
세기별 용례
15세기 : (몬져, 몬졔, 몬제)
이 經 디니 사 몬져 이런 鼻相 得리라 ≪1447 석상 19:19ㄴ
몬졔 몸 샤 얼굴 보 여희시고 ≪1447 석상 20:18ㄴ
阿難아 네 몬제 나 對答호 光明 주머귀 보노라 더니 ≪1461 능엄 1:98ㄱ
16세기 : (몬져, 몬저)
믈읫 時節 거시어든 의식 몬져 祭고 孝誠이 지극더라 ≪1514 속삼 효:25ㄱ
하리 록 몬저 며 님금이 신하록 몬져 호미 ≪1518 번소 3:15ㄱ
17세기 : (몬져, 몬저, 몬뎌, 몬졔, 몬쳐)
네 이 술위 몬져 가지고 문 밧 가 ≪1677 박언 중:12ㄱ
도적이 몬저 아 을 버히고 버거 죵 막개 버히고 ≪1617 동신속 열5:76ㄴ≫
우  라 몬뎌 믈로 헌  싯 후에 니로 븟티고 ≪17세기 마경 하:106ㄴ
몬졔브터 던 道理를 잘 각여 보시소 ≪1676 첩신-초 8:8ㄱ
골안혈은 눈 안 이시니 몬쳐 바 실을 가져 골안혈 을 여 ≪17세기 마경 상:67ㄴ
18세기 : (몬져, 몬저, 몬뎌, 먼져)
대개 졍셩을 닐위미 이예셔 몬져  시 업 연고ㅣ라 ≪1745 어상 6ㄱ
믈읫 우물 안 사이 이시면 그 우물 우희 自然히 몬저 물거품이 잇니 ≪1792 무원 3:5ㄱ≫
나라흘 고져 딘대 이 노코 무어 몬뎌 리오 ≪1756 어훈 25ㄴ
먼져  허믈이 잇 쟤 면젼례 버거 등을 고티더니 ≪1758 종덕 하:24ㄱ
19세기 : (몬져, 몬저, 먼져, 먼저)
강보에 잇셔 텬디를 아지 못되 부모를 몬져 아단 말이라 ≪1876 남궁 2ㄴ
자졍에 불니지 말며 비복을 불이되 은를 몬저 며 족당을 화목며 인리를 구급야 ≪1889 여사수지 23ㄱ≫
신명은 임의 먼져 드르시고 슈와 복을 더고 숀을 더며 ≪1880 과화 5ㄴ
도적놈이 멀니 잇지라도 겁보터 먼저 낼 터인 ≪1894 천로 158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