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띠ː다발음 듣기]
활용
띠어[띠어발음 듣기/띠여발음 듣기](뗘[뗘ː]), 띠니[띠ː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을】
「001」띠나 끈 따위를 두르다.
치마가 흘러내리지 않게 허리에 띠를 띠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뛰다(전남), 찌다(제주)
옛말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다(17세기~19세기)>띠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띠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중세 국어의 ‘다’는 연결 어미 ‘-어’와 결합할 때 반모음 [y]가 추가되어 ‘여’로 나타났는데, 16세기의 ‘여’는 반모음 [y]가 추가되지 않은 형태이다. 17세기에는 ‘다’의 ‘ㅢ’가 ‘ㅣ’로 변화함에 따라 ‘다’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는 ‘띠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이 ‘ㅼ’으로 표기되었던 경향이 있었는데, 18세기의 ‘다’는 이러한 경향 때문에 ‘다’의 ‘ㅼ’을 ‘ㅳ’에서 변화한 것으로 잘못 인식하여 나타난 과도 교정 표기이다. 19세기의 ‘띄다’는 ‘다’의 ‘ㅼ’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다, 띄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莽龍衣 袞龍袍애 寶玉帶 샤 이 들 닛디 마쇼셔 ≪1447 용가 112
오 도로  타 東西에 도혀  건나라 ≪1481 두시-초 3:35ㄱ
16세기 : (다)
公權을 뵈요  아니 저기 업더라 ≪1518 번소 9:104ㄴ-105ㄱ
아 仲郢히 다  여 새배 문 뒤희 가 문안더라 ≪1518 번소 9:102ㄱ
17세기 : (다, 다)
칼 고 노 여셔 셰야 닐오 ≪1617 동속 열:13ㄴ≫
皀衫 닙고 革帶 고 鞋 라 ≪1632 가언 3:10ㄴ
18세기 : (다, 다)
그저 일에  客人이 잇셔 包袱 고 와 니되 ≪1721 오륜전비 6:31ㄱ
갈구의 가족  고 두 쳥의 리고 나와 ≪1758 종덕 상:12ㄱ
19세기 : (다, 다, 띄다)
명부 관원이 노을 여 좌우 명여 ≪1852 태상 2:22ㄴ
졀머실 에 스사로  고 임으로 쥬류되 ≪1887 성전 요한복음 21:18
인ㅣ 하의 구을  만흔 덕능과 위엄을 띄고 옴을 보리라 ≪1892 성직 7:123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