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띠ː다

- 활용
- 띠어[띠어



- 품사/문형
- 「동사」 【…에 …을】
- 「001」띠나 끈 따위를 두르다.
- 치마가 흘러내리지 않게 허리에 띠를 띠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다(17세기~19세기)>띠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띠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중세 국어의 ‘다’는 연결 어미 ‘-어’와 결합할 때 반모음 [y]가 추가되어 ‘여’로 나타났는데, 16세기의 ‘여’는 반모음 [y]가 추가되지 않은 형태이다. 17세기에는 ‘다’의 ‘ㅢ’가 ‘ㅣ’로 변화함에 따라 ‘다’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는 ‘띠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이 ‘ㅼ’으로 표기되었던 경향이 있었는데, 18세기의 ‘다’는 이러한 경향 때문에 ‘다’의 ‘ㅼ’을 ‘ㅳ’에서 변화한 것으로 잘못 인식하여 나타난 과도 교정 표기이다. 19세기의 ‘띄다’는 ‘다’의 ‘ㅼ’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다, 띄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