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ː른

- 품사
- 「명사」
- 「002」나이나 지위나 항렬이 높은 윗사람.
- 내가 두 살 더 먹었으니 너보다 어른이다.
- 결혼하고 나서 시댁 어른들께 인사를 드렸다.
- 그는 나보다 나이가 적지만 항렬이 높아 어른이다.
- 고을에서는 내가 그중 나이 먹고 또 이 고장 태생인데 나보다 어른 되는 분들은 다 작고하고 타곳에 나가 없고 하니….≪최인훈, 회색인≫
- 사, 사또 어른, 고정하십시오. 아마 별감이 별 뜻이 있어 그러는 건 아닌 줄 아옵니다.≪유현종, 들불≫
- 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마는 아버님께서도 돌아가신 그 어른과의 우의를 생각하시면 외면하실 수 없는 일 아니겠습니까?≪박경리, 토지≫
- 고을에서는 내가 그중 나이 먹고 또 이 고장 태생인데 나보다 어른 되는 분들은 다 작고하고 타곳에 나가 없고 하니….≪최인훈, 회색인≫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장자(長者)
- 참고 어휘
- 어르신-네
역사 정보
얼운(15세기~19세기)>어룬(16세기~19세기)>어른(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른’의 옛말인 ‘얼운’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얼운’은 동사 ‘어르-’에 사동접미사 ‘-우-’,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한 ‘얼우-’의 관형사형이 명사로 굳어진 것이다. 16세기에 ‘ㄹ’ 뒤에 오는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완전히 탈락하면서 제1음절의 종성이 연철되어 ‘어룬’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19세기까지 ‘얼운’과 ‘어룬’이 공존하다가 19세기 이후에 제2음절 모음 ‘ㅜ’가 ‘ㅡ’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어른’이 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얼운, 어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
- 관용구어른 뺨치다
- 아이가 어른도 못 당할 만큼 영악하다.
- 그놈 참 어른 뺨치게 장사 한번 잘하는데.
- 속담어른 괄시는 해도 애들 괄시는 하지 말랬다
- 나이 많은 늙은이는 괄시를 하여도 뒤탈이 크게 일어날 일이 없겠지만 앞날이 창창한 아이들은 뒷날을 생각해서 괄시하지 말라는 말.
- 속담어른도 한 그릇 아이도 한 그릇
- 어른과 아이의 차별이 없이 나누어 주는 분량이 같다는 말. <동의 속담> ‘커도 한 그릇 작아도 한 그릇’ ‘흉년에 죽 아이도 한 그릇 어른도 한 그릇’
- 속담어른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다
- 어른이 시키는 대로 하면 실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로 이익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어른 없는 데서 자라났다
- 어떤 사람이 버릇없고 방탕함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