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피다발음 듣기]
활용
피어[피어발음 듣기/피여발음 듣기](펴[펴ː]), 피니[피니]
품사
「동사」
「001」꽃봉오리 따위가 벌어지다.
봄이 되었는지 개나리가 활짝 피었다.
그 나무는 가지가 죽어 잎이 피지 않는다.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일찍 심은 분꽃이 피기 시작한다.
덩굴장미의 붉은 꽃잎들이 흐드러지게 피어서 흘러넘치고 있는 것이 보였다.≪최인호, 지구인≫
아직 산에는 진달래꽃이 더러 남아 있었고 양지쪽엔 철쭉꽃이 새로 피기 시작하고 있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백석이가 가리키는 바위 밑 응달에 철늦은 진달래 몇 송이가 붉게 피어 있다.≪김춘복, 쌈짓골≫
개나리꽃이 제일 먼저 핀 뒤에 진달래꽃이 자남산에 불그레 피었다.≪박종화, 다정불심≫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페다(함남)
옛말
픠다, 프다

역사 정보

프다(15세기~17세기)/픠다(15세기~19세기)/퓌다(15세기~19세기)>피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피다’의 옛말인 ‘프다/픠다/퓌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이후로는 ‘프다’가 사라지고 ‘픠다/퓌다’가 남았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발음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픠다’가 ‘피다’로 변하여 ‘픠다, 퓌다, 피다’가 19세기에 공존하였다. 이후 ‘피다’로 통일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프다, 픠다, 퓌다, 피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프다, 픠다, 퓌다)
時節 아닌 곳도 프며 여름도 여러 닉더라 ≪1447 석상 11:2
퍼기옛 菊花ㅣ 두 번 프거늘 다 날브터 우노라 ≪1481 두시-초 10:33ㄴ
어드운  므른 곳 길헤 흐르고  벼른 새지븨 찻도다 ≪1481 두시-초 15:55ㄱ
閻浮提 內예  尊 남기 優曇鉢이니 녜 곳 아니 여름 여다가 金ㅅ 비쳇 고지 프면 부톄 나시니라 ≪1459 월석 2:47ㄱ
고 녯 가지예 얫도다 ≪1481 두시-초 10:10ㄱ
곧 고로 여 픠게 호 아니 한 더데 기피 고 ≪1481 두시-초 10:7
누느로 블 내오 이브로 블 吐니 비늘와 터럭마다 블와 왜 퓌며1459 월석 7:35
이런로 가져 숫글 沐浴야 블 브텨 이 퓌에 시니라 ≪1461 능엄 7:18ㄱ
酥蜜을 블 火鑪애 더뎌 라 ≪1461 능엄 7:18ㄱ
16세기 : (픠다, 퓌다)
빗난 동산 가온 고 일 픠욤애 도로 몬져 이울고 ≪1588 소언 5:26ㄱ
길 마갓  퍼깃 사미 비 오나든 곳 퓌오  겨든 여름  거셔 ≪1510년대 번박 상:40ㄱ
녯 사미 닐오 수울 이시며 고지 퓌여신 저기어든 눈 앏픳 즐기기를  거시라 ≪1510년대 번박 상:7ㄴ
17세기 : (프다, 픠다, 퓌다)
어드며 일후믄 처어믜 아로미 어렵거니와 프며 이우로 훤히 수이 알리로다 ≪1632 두시-중 3:9ㄴ
고 녯 가지예 얫도다 ≪1632 두시-중 10:10ㄱ
紅蜀葵 블근  픠 규화 ≪1613 동의 2:26ㄴ
퍼기옛 菊花ㅣ 두 번 픠거늘 다 날브터 우노라 ≪1632 두시-중 10:33ㄴ
길헤 당  퍽이 삼이 비 오면 곳 픠고 람 블면 여 여 거시여 ≪1677 박언 상:36ㄱ-ㄴ
白殕 곰 픠다1690 역해 상:53ㄴ
화탕의 셔졈 가야 면 비록 입안  퓌  다가도 즉제 긋니 ≪1608 언두 하:5ㄴ
섯애 화 더 음간야  라 ≪1608 언두 상:7ㄱ
18세기 : (픠다, 퓌다)
花開 곳 픠다1748 동해 하:45ㄴ
이 花臺上을 봄애 곳이 다 픠여시니 진실로 랑홉다 ≪1721 오륜전비 1:30ㄱ
煙氣繚繞  픠어 오르다 ≪1778 방유 해부방언:10ㄴ
 아의 그 남긔 믄득 티 퓌거 ≪1758 종덕신편 상:13ㄴ≫
금년 나모닙 예 ≪1778 속명의 1:38ㄱ
19세기 : (픠다, 퓌다, 피다)
유월에 괴화가  픠지 안냐 반헐 즈음의 셔 ≪1869 규합 24ㄴ
春은 야 도 픠고 도 울며 ≪1896 심상 3:37ㄱ
내 따희 일만 꼿치 임의 퓌엿시니1892 성직 16ㄱ
꼿 피다 花發 꼿 소식 花信 ≪1895 국한 33

관용구·속담(1)

속담피는 꽃도 한때다
한창 성한 것도 금방 쇠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