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따다

- 활용
- 따[따


- 품사/문형
- 「동사」 【…에서 …을】
- 「001」붙어 있는 것을 잡아떼다.
-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다.
- 바위에서 굴을 따다.
- 원한다면 하늘에서 별이라도 따 주겠다는 태도였다.
- 화사한 봄을 맞은 기쁨으로 여인네들은 진달래꽃 따다가 화전을 부치며 화전놀이를 하고….≪최명희, 혼불≫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7세기~19세기)>다(17세기~19세기)>따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따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 ‘다’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되는데, ‘다’는 이보다 좀 더 이른 시기인 17세기에 ‘다’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ㅼ’ 표기를 ‘ㄸ’으로 하게 됨에 따라 19세기에 ‘따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다’는 ‘다’의 ‘ㅳ’을 ‘ㅵ’으로 표기한 것이며, ‘다’는 ‘다’의 ‘ㆍ’가 ‘ㅏ’로 변화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다, 다, 다, 따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따 놓은 당상
- 떼어 놓은 당상이 변하거나 다른 데로 갈 리 없다는 데서,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떼어 놓은 당상’ ‘떼어 둔 당상 좀먹으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