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따다발음 듣기]
활용
따[따발음 듣기], 따니[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서 …을】
「001」붙어 있는 것을 잡아떼다.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다.
바위에서 굴을 따다.
원한다면 하늘에서 별이라도 주겠다는 태도였다.
화사한 봄을 맞은 기쁨으로 여인네들은 진달래꽃 따다가 화전을 부치며 화전놀이를 하고….≪최명희, 혼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7세기~19세기)>다(17세기~19세기)>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따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 ‘다’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되는데, ‘다’는 이보다 좀 더 이른 시기인 17세기에 ‘다’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ㅼ’ 표기를 ‘ㄸ’으로 하게 됨에 따라 19세기에 ‘따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다’는 ‘다’의 ‘ㅳ’을 ‘ㅵ’으로 표기한 것이며, ‘다’는 ‘다’의 ‘ㆍ’가 ‘ㅏ’로 변화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다, 다, 다, 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부텻 知見에 들 사로 닙 며 가지 推尋 잇부미 업고 ≪1463 법화 서:22ㄱ
던 사미 조 다니 ≪1481 두시-초 11:28ㄱ
17세기 : (다, 다, 다, 다, 다)
도적이 발 버히고  고 가니라 ≪1617 동신속 열4:1ㄴ≫
져기 인 아 아 쳥야 더 라 나 ≪17세기 두경 52ㄱ
슈슈는 이삭으란 고 닙흐란 법시 고 ≪1685 염소 7ㄴ
즘을 야 디워 비튱을 이고 ≪17세기 마경 하:99ㄴ
올 길헤  다가 누에 먹켜 보쟈라 ≪1658 경민-개 40ㄴ
18세기 : (다, 다, 다)
네 길셔 을 되  번도 보디 아니홈은 엇디오 ≪1737 어내 2:104ㄱ
宿瘤女 齊ㅅ 東郭앳   겨집이니 ≪1737 어내 2:103ㄴ
외 둘히 잇거 다가 어믜게 드리니 ≪1797 오륜 효:56ㄴ
19세기 : (다, 다, 따다)
단오 일에 상 닙흘 셔 말뇌여 ≪1869 규합 29ㄱ
다 摘 抉 ≪1880 한불 463
무진 오월에 남문 밧 쳥에셔 잇꼿 따다가1895 치명 58ㄴ

다중 매체 정보(1)

  • 따다
    따다

    따다

관용구·속담(1)

속담따 놓은 당상
떼어 놓은 당상이 변하거나 다른 데로 갈 리 없다는 데서,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떼어 놓은 당상’ ‘떼어 둔 당상 좀먹으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