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ː른

- 품사
- 「명사」
- 「001」다 자란 사람. 또는 다 자라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
- 아이 같은 어른.
- 아이가 자라서 어른이 되다.
- 사리가 어른처럼 밝다.
- 너도 이제 어른이 다 되었으니 네 일은 네가 알아서 하여라.
- 어른이면 어른답게 행동하세요.
- 나이는 이제 겨우 열네 살이지만 준절하기가 어른 같다.≪한설야, 탑≫
- 너를 어른으로 생각한다면 우리도 못 할 짓이 없는 게야.≪박경리, 토지≫
- 어허, 네놈이 뭘 안다고 어른 같은 소릴 하느냐!≪유주현, 대한 제국≫
- 어른도 감히 흉내 낼 수 없을 만큼 그는 묘하게도 어린 얼굴에 차분한 슬픔을 그림자처럼 깔고 있는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 나는 우리 명욱을 어른으로 알았는데 아직 남자에 대해 일차 방정식 정도의 인식밖엔 가지고 있지 않군.≪이병주, 행복어 사전≫
- 성난 백성의 눈들은 시뻘겋게 충혈이 되었다. 금방 눈에서 붉은 피가 쏟아질 듯하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악에 받치고 분이 치밀어서 머리털 끝이 빳빳이 일어선다.≪박종화, 임진왜란≫
- 내가 이렇게 순순히 승락하자 정명욱의 얼굴이 활짝 꽃 피듯 했다. 그러고는 어린애가 어른에게 무언가를 조르듯 하는 아연한 표정으로 바꿔가면서 속삭였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얼운(15세기~19세기)>어룬(16세기~19세기)>어른(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른’의 옛말인 ‘얼운’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얼운’은 동사 ‘어르-’에 사동접미사 ‘-우-’,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한 ‘얼우-’의 관형사형이 명사로 굳어진 것이다. 16세기에 ‘ㄹ’ 뒤에 오는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완전히 탈락하면서 제1음절의 종성이 연철되어 ‘어룬’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19세기까지 ‘얼운’과 ‘어룬’이 공존하다가 19세기 이후에 제2음절 모음 ‘ㅜ’가 ‘ㅡ’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어른’이 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얼운, 어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
- 관용구어른 뺨치다
- 아이가 어른도 못 당할 만큼 영악하다.
- 그놈 참 어른 뺨치게 장사 한번 잘하는데.
- 속담어른 괄시는 해도 애들 괄시는 하지 말랬다
- 나이 많은 늙은이는 괄시를 하여도 뒤탈이 크게 일어날 일이 없겠지만 앞날이 창창한 아이들은 뒷날을 생각해서 괄시하지 말라는 말.
- 속담어른도 한 그릇 아이도 한 그릇
- 어른과 아이의 차별이 없이 나누어 주는 분량이 같다는 말. <동의 속담> ‘커도 한 그릇 작아도 한 그릇’ ‘흉년에 죽 아이도 한 그릇 어른도 한 그릇’
- 속담어른 말을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생긴다
- 어른이 시키는 대로 하면 실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로 이익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어른 없는 데서 자라났다
- 어떤 사람이 버릇없고 방탕함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