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뱌비다]
활용
뱌비어[뱌비어/뱌비여](뱌벼[뱌벼]), 뱌비니[뱌비니]
품사/문형
「동사」 【…을】【…을 …에/에게】【(…과) …을】
「001」((‘…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두 물체를 맞대어 가볍게 문지르다.
아이가 고사리손으로 눈을 뱌비며 일어났다.
그녀는 자신의 손을 아이의 뺨에 뱌벼서 아이의 언 뺨을 녹이려고 했다.
아이는 엄마와 뺨을 뱌비는 것을 좋아한다.
두 꼬마가 뺨을 뱌비며 즐거워하고 있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비비다
옛말
뱌다

역사 정보

뱌다(16세기)>뱌븨다(17세기~18세기)>뱌비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뱌비다’의 옛말인 ‘뱌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7세기와 18세기에 걸쳐서 ‘뱌븨다’로도 나타나는데 현대 국어의 ‘뱌비다’는 ‘뱌븨다’ 또는 ‘뱌다’의 제2음절 ‘’ 또는 ‘븨’의 단모음화의 결과이다. 또한 15세기에는 ‘뱌다’ 또는 ‘뱌븨다’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부븨다’가 쓰였다.
이형태/이표기 뱌다, 뱌븨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뱌다)
뱌 녑 ≪1527 훈몽 하:10ㄴ
뱌 녈 ≪1527 훈몽 하:10ㄴ
뱌 년 ≪1527 훈몽 하:10ㄴ
뱌 멸 ≪1527 훈몽 하:10ㄴ
17세기 : (뱌븨다)
撚指 뱌븨다1690 역해 상:39ㄴ
18세기 : (뱌븨다)
뱌븰 녈 捏 ≪1781-1787 왜해 상:30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