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보살피다발음 듣기]
활용
보살피어[보살피어발음 듣기/보살피여발음 듣기](보살펴[보살펴]), 보살피니[보살피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정성을 기울여 보호하며 돕다.
환자를 보살피다.
늙으신 부모님을 보살펴 드리다.
그는 고아들을 친자식처럼 보살폈다.
아이들이 잘 자라도록 보살펴야 한다.
솔직히 말해서, 어떻게든 어머니와 동생들만 보살펴 나가면 다른 모든 잘못은 절로 면책되리라는 믿음으로 스스로를 달래고는 있어도….≪이문열, 변경≫
말도 제대로 못 하고 겨우 뒤뚱뒤뚱 걷는 큰오빠를 그녀는 엄마 대신 아기 보살피듯 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주인을 모시고 왔으므로 끝까지 그를 보살펴야 하는 게 그의 도리라고 믿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만일 형님이 죽고 없다면 조카들은 당연히 내가 보살펴야 하는 처지에 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자신을 사랑하고 자상하게 보살피며 또 집안의 냉랭한 분위기에서 단호하게 격리시키려 드는 남편에게서 인간적인 체취를 느끼지만….≪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보피다(16세기~19세기)>보살피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보살피다’의 옛말인 ‘보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보피다’는 동사 ‘보-’와 ‘피-’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문헌에 나타난 ‘보피다’는 ‘보피다’를 중철 표기한 것이고, 18세기 문헌에 나타난 ‘보히다’는 제3음절의 ‘ㅍ’을 ‘ㅂ’과 ‘ㅎ’으로 나누어 적은 재음소화 표기의 예이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의 구별이 사라지면서 18세기에 현대 국어와 같은 ‘보살피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보피다, 보피다, 보히다, 보살피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보피다, 보피다)
곧  부모의게 난 뎨와 가지니 서르 졉며 서르 보펴 니라 ≪1510년대 번노 하:46ㄱ-47ㄴ
만일 자시디 아녀 겨시거든 얼운 도와 쟝만홈 보필 디니라 ≪1588 소언 2:4ㄴ
나그내네 쉬라 내 문들 보피고 자리라 ≪1510년대 번노 상:26ㄱ
네  모라다가  잇게 라 수이 보필 거시라 ≪1510년대 번노 상:58ㄱ
17세기 : (보피다, 보피다)
됴셕의 분묘 보피되 죵시예 폐티 아니더라 ≪1617 동신속 효3:73ㄴ≫
자네게 맛딜 거시니 보펴 아므 도 폐 아니케 아라 쇼셔 ≪1676 첩신-초 6:23ㄴ
네 本國에 가거든 장 날을 보피라1677 박언 상:9ㄴ
照覰 보피다1690 역해 하:44ㄴ
18세기 : (보피다, 보피다, 보히다, 보살피다)
이 세 아 내 가지로 뎌 보피되1721 오륜전비 1:13ㄴ
保赤子 아희 보피다1790 몽해 상:41ㄱ
네 니미 올타 네 장 用心여 보히라1765 박신 2:53ㄴ
路次의 일란 자네게 맏질 거시니 보살펴 아므도 폐 아니케 알쇼셔 ≪1748 첩신-개 6:33ㄴ-34ㄱ
19세기 : (보피다, 보살피다)
무덤을 실이 보피며1852 태상 4:22ㄴ
보피다 監察 ≪1880 한불 336
보살피다 看檢 ≪1895 국한 146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