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며칠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그달의 몇째 되는 날.
오늘이 며칠이지?
비행기 안에서 서울에 도착하면 몇 월 며칠 몇 시가 되는지 생각해 보았다.
오는 길에 엄마는 오늘이 며칠이냐고 물으면서….≪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0월 며칠이었던가는 모르지만, 난 또 중학에 들어갔던 거라.≪이정환, 샛강≫
문집은 별안간 오늘이 12월 며칠인가를 열심히 계산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역사 정보

며츨(16세기~17세기)>몃칠(19세기)>며칠(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며칠’의 옛말인 ‘며츨’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 18세기 문헌에 나타난 ‘몃츨’은 ‘며츨’을 중철 표기한 것이고, ‘멷츨’은 종성의 ‘ㅅ’이 ‘ㄷ’과 소리가 동일하여 혼동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표기이다. 19세기에는 ‘ㅈ, ㅊ’ 뒤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며츨’이 ‘며칠’이 되었는데, 실제 문헌상으로는 ‘며칠’을 중철 표기한 ‘몃칠’의 예가 나타난다. 기원적으로 ‘며츨’은 수사 ‘몇’과 “날”을 의미하는 ‘을’이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날”을 의미하는 ‘/을’은 ‘이틀, 사, 나, 열흘’ 등에서도 확인되는데, 이들 단어의 제2음절과 ‘며츨’의 제2음절은 모두 거성의 성조를 갖는다는 것이 공통점이 있다.
이형태/이표기 며츨, 몃츨, 멷츨, 몃, 몃찰, 몃칠
세기별 용례
16세기 : (며츨)
며츠를 셜웝리러뇨 낫 사 밤 사  거시라 ≪1510년대 번박 상:75ㄱ
17세기 : (며츨, 몃츨, 몃)
며츨만의나 返事ㅣ 올고 짐쟉이 계실 시니 ≪1676 첩신-초 5:8ㄱ
오이 몃츨고 오이 臘月 二十五日이라 ≪1677 박언 중:53ㄴ
몃을 머므로뇨 사흘을 니라 ≪1677 박언 하:41ㄱ
18세기 : (몃츨, 멷츨)
오이 몃츨고1765 박신 2:58ㄴ
멷츨만의나 返事ㅣ 올고 짐쟉이 계실 거시니 ≪1748 첩신-개 5:11ㄴ
19세기 : (몃칠, 몃찰)
몃칠 幾日 ≪1880 한불 237
몃찰 幾日 ≪1895 국한 11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