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며친날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그달의 몇째 되는 날.
아버님 제사가 5월 며칟날이지?

관련 어휘

비슷한말
며칠
지역어(방언)
메칟-날(경남), 미칟-날(전라)
옛말
며-날

역사 정보

며날(16세기)>며칟날(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며칟날’의 옛말인 ‘며날’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며날’은 “며칠”의 의미인 ‘며’에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면서 ‘며’의 제2음절 종성 ‘ㄹ’이 ‘ㅅ’ 앞에서 탈락한 ‘며’과 ‘날’이 결합한 것이다. ‘며’은 ‘몇’과 “날”의 의미인 ‘’이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 후반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며츳날’로 변화하고 근대 국어 후기에 ‘ㅊ’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 모음화에 따라 ‘*며칫날’로 변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세기 이후 ‘ㄹ’ 종성을 가진 명사가 관형격 조사 ‘ㅅ’과 결합하는 경우 종성 ‘ㅅ’을 ‘ㄷ’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며칟날’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몃날’은 ‘며날’을 중철 표기 한 ‘*몃’에서 제2음절 종성 ‘ㅅ’의 실제 음가가 후행하는 음절 초성 ‘ㄴ’에 동화된 것을 표기에 반영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며날, 몃날
세기별 용례
16세기 : (며날)
이러면 내 요 도로 가고쟈 니 며나리 됴고 ≪1510년대 번노 하:71ㄴ
17세기 : (몃날)
이러면 내 요이 도로 가고져 니 몃날이 됴고 ≪1670 노언 하:64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