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치다

- 활용
- 마치어[마치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3」어떤 일이나 과정, 절차 따위가 끝나다. 또는 그렇게 하다.
- 일이 마치면 식당으로 와라.
- 우리는 근무가 마치면 가까운 식당에서 국수를 먹곤 하였다.
- 일을 마치다.
- 임기를 마치다.
- 대학을 마치다.
- 목이 메어 말을 채 마치지 못했다.
- 동경 유학을 하였느냐, 무슨 학교를 마쳤느냐, 한문을 많이 읽었다지, 문필을 좋아한다지?≪현진건, 지새는 안개≫
- 내년에 졸업을 한다 해도 창창한 수련 기간에다 군 복무를 마쳐 보게. 언제 학위를 따고 언제 돈을 버나.≪박완서, 오만과 망상≫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츠다(18세기~19세기)>맛츠다(18세기)>맛치다(18세기~19세기)>마치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치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났다. ‘-’의 중철 표기 ‘ㅊ-’은 16세기부터 나타나는데, ‘ㅊ-’는 ‘츠다>맛츠다>맛치다>마치다’의 변화 과정을 겪게 된다. 현재의 ‘마치다’에 이르는 중간 단계의 형태인 ‘츠다, 맛츠다, 맛치다’는 모두 18세기에 나타난다. ‘츠다’는 ‘ㅊ-’에 ‘ㅡ’가 추가되면서 2음절에서 3음절로 늘어난 형태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였는데, 이 영향으로 ‘츠다’는 ‘맛츠다’로 변화한다. 근대 국어 후기에 ‘ㅈ’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 모음화가 있었는데, 이 영향으로 ‘맛츠다’는 ‘맛치다’로 변화한다. 이후 ‘맛치다’의 종성 ‘ㅅ’이 탈락하면서 18세기에 ‘마치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마츠다’는 ‘맛츠다’에서 종성 ‘ㅅ’이 탈락한 형태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였는데, 이로 인해 ‘ㆍ’와 ‘ㅡ’의 표기가 혼동되는 일이 많았다. 18세기의 ‘다’와 ‘마다’는 이러한 이유로 나타난 형태인데, 각각 ‘츠다’와 ‘맛츠다’의 제2음절 모음 ‘ㅡ’가 ‘ㆍ’로 표기된 것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였는데, 이로 인해 ‘ㆍ’와 ‘ㅏ’의 표기가 혼동되는 일이 많았다. 19세기의 ‘치다’와 ‘치다’는 이러한 이유로 나타난 형태인데, 각각 ‘마치다’와 ‘맛치다’의 제1음절 모음 ‘ㅏ’가 ‘ㆍ’로 표기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 -, ㅊ-, -, 츠-, 맛츠-, 맛치-, 마-, 마츠-, 마치-, 치-, 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