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듬해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바로 다음의 해.
이듬해 봄.
혼인한 이듬해에는 건넌방에서도 아이 우는 소리가 나게 되었다.≪염상섭, 삼대≫

관련 어휘

비슷한말
다음 해, 익년(翌年), 차년(次年)
지역어(방언)
뒷-해(제주)
옛말
이듬-

역사 정보

이듬(15세기~19세기)>이듬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듬해’의 옛말인 ‘이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듬’는 ‘이듬’과 ‘’로 분석되는데 ‘이듬’은 “다음”을 뜻하는 ‘읻’과 명사 파생 접미사 ‘-음’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이듬’의 제3음절 모음 ‘ㆎ’는 15세기 국어에서 이중모음 ‘ㆎ’[ʌy]이었는데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가 소실되고 이중모음 ‘ㅐ’[ay]가 단모음 ‘ㅐ’[ɛ]로 변하면서 ‘이듬해’로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이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듬))
이듬예 도기  永州 티며 ≪1481 두시-초 25:39ㄱ
16세기 : ((이듬))
이듬예 王과 賈ㅣ 다 화란을 만나니 ≪1588 소언 6:117ㄱ
17세기 : ((이듬))
이듬예 그 어미 아븨 겨 옴겨 ≪1617 동신속 효1:22ㄴ≫
18세기 : ((이듬))
이듬에 언 급뎨니 ≪1797 오륜 兄38ㄴ
19세기 : ((이듬))
이듬 가을에 한 아들을 두고 ≪1881 조군 18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