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끼니 또는 식사 시간.
때를 거르다.
놀다가도 때가 되면 들어와 식사를 해야지.
그러나 조석 때가 되면 살아남은 사람은 여전히 우물에서 물을 길었고,….≪박완서, 미망≫

관련 어휘

비슷한말
지역어(방언)
가리(제주), (충청)
옛말
즈, 니, ,

역사 정보

(15세기~17세기)>(16세기~19세기)>(17세기~19세기)>때(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때’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는 15세기부터 초성 ‘ㅵ’이 ‘ㅳ’으로 변화된 ‘’가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는 ‘’로 나타난다. 이후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8세기에 ‘때’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는 ‘’의 ‘ㅐ’를 ‘ㆎ’로 표기한 것인데, 이것은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됨에 따라 ‘ㆎ’가 ‘ㅐ’로 변화되었던 경향 때문에 ‘ㅐ’와 ‘ㆎ’를 혼동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 , , , 때
세기별 용례
15세기 : ()
爲酉時之類 ≪1446 훈해 49
16세기 : ()
네 난   날 니라 ≪1510년대 번노 하:71ㄱ
17세기 : (, , )
도 예 돋디 아니며 부를 예 붇디 아니며 ≪1608 언두 하:22ㄱ
독긔 야며 기푸믈 변기 오로 이 예 인니라 ≪1608 언두 상:23ㄴ-24ㄱ
朝夕의 哭奠며 밥 예 上食라 ≪1632 가언 8:10ㄱ
18세기 : (, , , 때)
束修禮節을 로 나오디 아니니 ≪1721 오륜전비 1:19ㄱ
이 남으라  업스니이다 ≪1721 오륜전비 2:12ㄱ
老漢이 나히 졈어실 에 그저 이 멀므로 ≪1721 오륜전비 2:41ㄱ
어 때의 날이 그믈 보며 어 날의 그 門을 어드리오 ≪1756 어훈 5ㄴ
19세기 : (, , , 때)
진헤왕 예 의ㅣ 일즉 진병으로 위을 쳐 ≪1832 십구 2:71ㄴ
셩강 예 텬하ㅣ 평안니 ≪1832 십구 1:55ㄱ
예 빗난 별이 나고 빗 구로미 니러나거 ≪1832 십구 1:18ㄴ
쳔만 리라도 니고져 면 곳 니러 때 허비치 아니 거시오 ≪1865 주년 11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