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두둑

- 활용
- 두둑만[두둥만

- 품사
- 「명사」
- 「002」논이나 밭을 갈아 골을 내어서 불룩하게 흙을 쌓아 만든 곳.
- 눈은 고랑에만 남아 있어서 드러난 두둑의 검은 흙이 화선지에 그은 이랑처럼 부드럽고 유연하게 야산을 감돌고 있었고….≪박완서, 미망≫
- 참외 철이 되면 걜 시켜서 어느 두둑 어디쯤에 잘 익은 게 있는지 알아 오게 해 놓고 밤에 서리를 가는 거예요.≪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두듥(15세기~17세기)>두둙(18세기)>두둑(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두둑’의 옛말인 ‘두듥’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듥’은 18세기에 제2음절 모음 ‘ㅡ’가 제1음절 모음 ‘ㅜ’에 동화되어 ‘두둙’이 되었다. 이후 19세기에는 제2음절의 말자음 ‘’에서 ‘ㄹ’이 탈락하여 ‘두둑’이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두듥, 두둙, 두둑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