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마다들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둘 이상의 아들 가운데 맏이가 되는 아들.
종갓집 맏아들로 태어나면 제사만 지내기에 바빠서 직업을 가지지 못했었고 그래서 어떤 집이든지 아들이 몇이 있더라도 맏아들에게 재산의 절반을 상속 주기로 정해 있었던 것이다.≪마해송, 아름다운 새벽≫

역사 정보

아(15세기~18세기)>맛아(19세기)>맏아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맏아들'의 옛말인 '아"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은 "맏이"의 의미인 ''과 "아들"의 의미인 '아'이 결합한 것이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ᆞ'가 'ᅡ'로 변화되고, 근대 국어 시기에 종성 'ᄃ'이 'ᄉ'으로도 표기되었던 경향에 따라 19세기에 '맛아'이 나타난다. 16세기 후반 이후에 제2음절 이하의 'ᆞ'가 'ᅳ'로 변화되는 경향에 따라 '맛아'의 '아'이 '아들'로 나타나고, 20세기 이후 원래 'ᄃ'이었던 종성 'ᄉ'을 다시 'ᄃ'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맏아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맛들'은 18세기 이후의 'ᆞ' 변화에 따라 'ᆞ'와 'ᅡ'의 발음이 구분되지 않게 됨에 따라 '*맛아들'의 제2음절 모음 'ᅡ'를 'ᆞ'로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아, 맛아, 맛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
白飯王ㅅ 아 調達이오 ≪1459 월석 2:1ㄴ
16세기 : (아)
아 建 郞中令 벼슬얏고 ≪1518 번소 9:85ㄴ
18세기 : (아)
長子 아1790 몽해 상:9ㄱ
19세기 : (맛아, 맛들)
부모 업 맛들은 젼례에 벅벅이 머믈너 잇게 고 ≪1883 이언 4:5ㄱ
맛아을 폐고 젹은 아을 셰우니 ≪1865 주년 13ㄱ-13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