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뜨다

- 활용
- 떠[떠


- 품사/문형
- 「동사」 【…에】【…으로】
- 「001」물속이나 지면 따위에서 가라앉거나 내려앉지 않고 물 위나 공중에 있거나 위쪽으로 솟아오르다.
- 종이배가 물에 뜨다.
- 아이들은 하늘에 떠 있는 비행기를 바라보며 환호성을 질렀다.
- 이미 해가 중천에 떠 있는데도 사람들은 아직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 몸이 공중에 붕 떠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 나무가 물 위로 뜨다.
- 물속에 가라앉아 있던 물체는 시간이 조금 지나자 서서히 수면으로 뜨기 시작했다.
- 우리는 수평선 위로 조금씩 뜨고 있는 붉은 해를 바라보며 가슴속으로 저마다의 소원을 빌었다.
관련 어휘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7세기)>다(18세기~19세기)>뜨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뜨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중세 국어 시기에 ‘ㅳ’은 ‘ㅂ’과 ‘ㄷ’이 둘 다 발음되는 어두 자음군이었는데, 근대 국어 시기에 어두 자음군이 사라지면서 ‘ㅂ’이 탈락하고 ‘ㄷ’의 된소리로 바뀌어 18세기에는 ‘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18세기에는 ‘ㄷ’의 된소리를 ‘ㄸ’으로 표기한 ‘뜨다’도 등장하여 19세기까지 ‘다’와 ‘뜨다’가 공존하였다. 현대 국어에서는 된소리를 각자 병서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뜨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뜨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