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다섣발음 듣기]
활용
다섯만[다선만발음 듣기]
품사
「수·관」
「001」넷에 하나를 더한 수. 또는 그런 수의.
둘에 셋을 더하면 다섯이다.
오늘은 다섯이나 지각을 했다.
다섯까지는 필요 없고 셋이면 되겠는데.
앞으로 다섯까지는 더 낳을 생각입니다.
사과 다섯 개.
연필 다섯 자루.
시간은 벌써 오후 다섯 시가 가까워지고 있었다.
고구마가 다섯 가마니에 좁쌀이 두 가마니. 콩이며 팥 등 밭곡식도 두루 섭섭하지가 않았다.≪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다슷(16세기~19세기)>다섯(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다섯’의 옛말인 ‘다’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한 ‘다슷’이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다슷’의 제2음절 모음 ‘ㅡ’가 ‘ㅓ’로 변화한 ‘다섯’이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다’은 ‘다’의 종성 ‘ㅅ’을 ‘ㄷ’으로 표기한 것이며, ‘다’는 종성 ‘ㅅ’이 탈락된 것이다. 17세기의 ‘다’은 ‘다’의 제2음절 초성 ‘ㅅ’이 탈락한 것이다. 근대 국어 후기에 ‘ㅅ’ 아래의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에서 반모음으로 탈락함에 따라 ‘셔’가 ‘서’로 바뀌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셔’와 ‘서’가 혼동되어 나타나기도 하였다. 19세기의 ‘다셧’은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다, 다슷, 다, 다섯, 다셧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다, 다)
憍陳如 다 사도 졷 苦行더라 ≪1447 석상 3:39ㄱ
天竺國이 다시니 이 北天竺國이라 ≪1459 월석 4:53ㄴ
祝融 다 묏부리 노니 ≪1481 두시-초 13:2ㄱ_9
조 겻구 제 부텻 나히 열히러시니 昭王ㄱ 셜흔 다 찻  癸亥오 ≪1447 석상 3:14ㄴ
16세기 : (다, 다, 다슷)
네 리 다 사 밥 지라 ≪1510년대 번노 상:20ㄴ
다 거시  후에 能히 어버이 셤김이니라 ≪1588 소언 2:33ㄱ
다슷 재 믈읫 飮食 먹옴애 可히 야 리며 取디 아닐 거시며 ≪1588 소언 5:102ㄱ
17세기 : (다, 다, 다슷, 다, 다)
누른 개리 네히나 다시나  근 술의 라 머기고 ≪1608 언두 상:28ㄱ
規와 矩와 繩과 權과 衡의 다 가지 法이 이믜 베픈 故로 ≪1632 가언 1:44ㄱ
葛屨ㅣ 다슷 兩이며 冠애 䋴ㅣ 雙이니라 ≪1613 시언 5:6ㄴ
다 오 伍 ≪1664 유합-칠 1ㄱ
火藥은 다 두 돈 다 分이라 ≪1685 화포 21ㄴ
18세기 : (다, 다, 다, 다섯)
다 가지 按酒ㅣ 다 잇냐 업냐 ≪1721 오륜전비 4:5ㄴ
다 가딛 일 업 감  무간이라 니 ≪1762 지장 상:21ㄱ
다만 다 됴흔 이 잇다 ≪1790 몽노 5:12ㄴ
五瓣 다섯  ≪1775 역보 36ㄱ
19세기 : (다, 다슷, 다, 다셧, 다섯)
다 시위 거믄 고 시고 ≪1832 십구 1:18ㄱ
진왕 졍이 임의 다슷 나라흘 멸고 ≪1832 십구 2:34ㄴ
앙을 샹오 열 다 고을희 봉고 ≪1832 십구 2:107ㄱ
로 누록 다셧 홉 너허 약쥬 밋 쳐로 쳐 너헛가 ≪1869 규합 4ㄱ
이 나모와 소와 곡식과 화초 다섯 가지 물건은 모도 이 에셔  거시니 ≪1894 훈아 7ㄱ

관용구·속담(1)

속담다섯 손가락 깨물어서 아프지 않은 손가락이 없다
혈육은 다 귀하고 소중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이 없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