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거러오다발음 듣기]
활용
걸어와[거러와발음 듣기], 걸어오니[거러오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으로】
「001」((‘…에’나 ‘…으로’ 대신에 ‘…을 향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목적지를 향하여 발로 걸어서 이동하여 오다.
집에 걸어오다.
항상 자동차를 이용하던 그가 이곳에 걸어올 것이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조그만 그림자는 비를 철철 맞으며 그대로 이쪽으로 걸어오고 있었다.≪오상원, 잊어버린 에피소드≫
어느 사이 치모가 수건으로 얼굴을 닦으며 평상 쪽으로 걸어오고 있었다.≪김원일, 노을≫
모두들 일손을 멈추고 마찻길을 따라 무리를 지어 우리들을 향해 천천히 걸어오는 50명쯤의 월남인들을 쳐다보았다.≪안정효, 하얀 전쟁≫
노인은 부드러운 얼굴로 말하고 성우에게로 걸어왔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관련 어휘

반대말
걸어-가다

역사 정보

거러오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걸어오다’의 옛말인 ‘거러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걸어오-’는 ‘걷-’과 어미 ‘-어’, 동사 ‘오-’가 결합한 것이다. 20세기 이후 ‘거러’가 분철 표기 된 ‘걸어오-’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거러오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거러오다)
훤 門에 디날호야 거러오니 기픈 지비 幽隱 期約애 맛도다 ≪1481 두시-초 9:22ㄴ
16세기 : (거러오다)
손이 거러왯거든 대문 밧 가 마자 드러오고 ≪1574 여씨-일 22ㄱ
17세기 : (거러오다)
王公이 그  거러와 罪 請대 將次ㅅ 해 責罰호리라 터시니라 ≪1632 두시-중 24:13ㄴ
18세기 : (거러오다)
죡다 兄아 왓고나 네  고 온다 거러온다거러왓노라1790 첩몽 4:6ㄴ
19세기 : (거러오다)
예수ㅣ 본 나귀 업고 샹 니실 에 거러가고 거러오시더니 이 에 누ㅣ 즐겨 나귀 빌니리오 ≪1894 훈아 26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