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찌타

- 활용
- 찧어[찌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곡식 따위를 잘게 만들려고 절구에 담고 공이로 내리치다.
- 보리쌀을 찧어서 죽을 쑤다.
- 박성녀는 업동이네와 부엌에서 품앗이로 보리방아를 찧고 있었다.≪이기영, 고향≫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찍다(강원, 경상, 전남, 제주), 볿다(경남, 전남, 함북), 쩡타(경남), 짛다(제주), 찌다(제주, 충청), 능구다(평남), 넘다(평북), 늠다(평북), 띻다(평안, 함북), 쫗다(함경, 중국 길림성), 뗳다(함북), 쩧다(함북)
- 옛말
- 딯다
역사 정보
딯다(15세기~17세기)>다(15세기~18세기)>찧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찧다’의 옛말 ‘딯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딯다’는 17세기까지 나타났다. 한편 같은 의미의 ‘다’가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나타났다.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두 어형이 경쟁하다가 18세기부터는 ‘다’만 사용되었다. 근대 이후에 ‘ㄷ, ㅌ, ㄸ’이 ‘ㅣ’ 앞에서 구개음화하여 ‘ㅈ’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겪어 ‘다’도 ‘다’ 정도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으나 문헌에서는 찾기 어렵다. 20세기 이후 경음을 각자 병서로 쓰게 되면서 ‘찧다’가 나타났고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딯다, 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2)
- 관용구찧고 까불다
- 되지도 않는 소리로 이랬다저랬다 하며 몹시 경망스럽게 굴다.
- 영권 씨 너무해요…내가 왜 되지도 않을 일 찧고 까불었을까. ≪이정환, 샛강≫
- 속담찧는 방아도 손이 나들어야 한다
- 무슨 일에나 공을 들여야 그 일이 잘된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