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사라나다

- 활용
- 살아나[사라나


- 품사
- 「동사」
- 「001」죽었거나 거의 죽게 되었다가 다시 살게 되다.
- 구사일생으로 살아났다.
- 아버지를 다시 만난다는 것은 그녀에게는 죽은 할머니가 살아나는 것만큼이나 경악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문순태, 피아골≫
- 강을 건너오다 심장이 멎었던 대원도 살아나기는 했으나 제대로 맥을 추지 못해 같이 지산서당으로 보냈다.≪송기숙, 녹두 장군≫
- 가뭇한 기억 속에서도 아버지를 다시 만난다는 것은 그녀에게는 죽은 할머니가 살아나는 것만큼이나 경악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문순테, 피아골≫
- 그 풀이 파랗게 살아난 게 그렇게도 신기하세요?≪심훈, 영원의 미소≫
역사 정보
사라나다(15세기~19세기)>살아나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살아나다’의 옛말인 ‘사라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살아’가 연철된 표기로서 19세기부터 분철된 ‘살아나다’가 쓰이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19세기에는 ‘라나다’도 보이는데 근대 국어 시기인 18세기에 ‘ㆍ’의 음가 변동으로 ‘ㆍ’가 ‘ㅏ’로 쓰이기 시작하자 오히려 원래 ‘ㅏ’이었던 단어들을 ‘ㆍ’로 적는 경향이 생겨났는데 ‘라나다’는 이런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사라나다, 라나다, 살아나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살아날 사람은 약을 만난다
- 일이 잘될 사람은 불행한 처지에 있다가도 그 불행을 면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