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살지다

- 활용
- 살지어[살지어



- 품사
- 「형용사」
- 「001」살이 많고 튼실하다.
- 살진 암소.
- 살지고 싱싱한 물고기.
- 김의 면도 자리 푸른 살진 볼과 기생들의 가벼운 옷자락을 보니 현은 기분이 다시 한번 갠다.≪이태준, 패강랭≫
- 황해 연안에서는 살진 숭어와 물 매기 그리고 여러 가지 자잘한 젓갈감들이 한창 많이 잡히는 시기였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 성우는 미망인의 눈을 향해 고개를 가로저었다. 그러고는 통통하게 살진 아이를 안아 올리고 걷기 시작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 기후가 좋으니 작전에 유리하고 말이 살졌으니 이 또한 좋은 무기가 될 수 있으리라.≪황인경, 소설 목민심서≫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지다(15세기~19세기)>살지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살지다’의 옛말인 ‘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살”의 뜻인 ‘’과 ‘지다’가 결합한 것이다. ‘’은 근대 국어 시기인 18세기에 ‘ㆍ’의 음가 변동으로 ‘ㅏ’로 변함에 따라 ‘살’이 되었는데 ‘지다’도 19세기에는 ‘지다’와 ‘살지다’가 공존하였다가 ‘살지다’가 현대 어형으로 정착되었다.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다’와 ‘다’는 ‘지다’의 ‘지’가 경음화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지다, 다, 다, 살지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