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버드나무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001」버드나뭇과 버드나무속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버드-낭구(강원, 경기), 버드-낭기(강원), 버들-낭구(강원, 경기, 경남, 평남, 중국 길림성), 매뿔-나무(경남), 바람-나무(경남), 버덜-낭개(경남), 버덜-낭구(경남), 버들-나무(경남, 전라), 보두-나무(경남), 보들-나무(경남), 뻐드-나무(경남), 뻐들-나무(경남), 에벌-낭구(경남), 에불-낭구(경남), 에비-낭구(경남), 에뿔-나무(경남), 버다-나무(경상, 중국 흑룡강성), 회뜨기-나무(전북), 버두-낭(제주), 버드-낭(제주), 버들-낭(제주), 버듸-낭(제주), 버디-낭(제주), 버들-냉기(함경, 중국 길림성), 버드리(함북), 버드-낭그(황해)
- 옛말
- 버드-나모
역사 정보
버드나모(15세기~18세기)>버드나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버드나무’의 옛말인 ‘버드나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버드나모’는 명사 ‘버들’과 ‘나모’의 합성어로 단어 형성 과정에서 ‘버들’의 끝소리 ㄹ이 탈락한 것이다. 그런데 17세기~19세기 문헌에는 ㄹ이 탈락하지 않은 ‘버들나모’ 형태도 나타난다. 중세국어 시기에 ‘나모’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이형태 ‘’으로 교체되었으므로 ‘버드나모’ 역시 ‘버드’으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근대국어 시기에 ‘나모’가 ‘나무’로 변화하면서 ‘버드나모’ 역시 현대 국어와 같은 ‘버드나무’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버드나모, 버드, 버들나모, 버드나무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