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늗따발음 듣기]
활용
늦어[느저발음 듣기], 늦으니[느즈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2」기준이 되는 때보다 뒤져 있다.
시계가 오 분 늦게 간다.

역사 정보

늦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늦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늦다’는 종성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의 여덟 자음을 쓴다는 8종성법에 따라 ‘늣다’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형태/이표기 늦다, 늣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늦다, 늣다)
晩年 느즌 나히라 ≪1461 능엄 4:64ㄴ
話頭ㅣ 디 아니며 늣디 아니야 ≪1472 몽법 8ㄴ
時節이 마 느즈니 녯 이 논 곳 쇽졀업시 잇도다 ≪1481 두시-초 8:64ㄴ-65ㄱ
16세기 : (늦다, 늣다)
느즌 바 내 진실로 곫패라 ≪1510년대 번노 상:52ㄴ
내 새배 져기 밥 머근 후에 이 늣도록 다라도 바블 먹디 몯야시니 ≪1510년대 번노 상:53ㄱ-53ᄂ
네 아의 나가 늦게아 오면 내 門을 지혀셔 라고 ≪1588 소언 4:33ㄱ
17세기 : (늦다, 늣다)
평의 죵효 후의 사의게 가도 늣디 아니이다 ≪1617 동신속 열6:78ㄴ≫
或 임의 느저 결를 업거든 잠 즈스로 시시조게 호미 可니라 ≪1632 가언 9:1ㄴ
晩散 늦게야 罷다 ≪1690 역해 상:10ㄱ
18세기 : (늦다, 늣다)
日色이 쟝 느젓고 내 가기 부니 ≪1721 오륜전비 5:41ㄴ
이리 늣도록 당시론 자디 아니고 ≪1721 오륜전비 4:9ㄴ
19세기 : (늦다, 늣다)
날이 늣도록 문을 녀지 아니 고 불너도 응치 아닛지라 ≪1852 태상 4:32ㄱ
날이 느즈면 맛당이 그 상고 라 남으로 갈지라 ≪1852 태상 3:21ㄴ
여긔 들인데 가 느젓이다1887 성전 마가복음 6:3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