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따로

- 품사
- 「부사」
- 「001」한데 섞이거나 함께 있지 아니하고 혼자 떨어져서.
- 따로 나가 살다.
- 남녀를 따로 갈라 앉히다.
- 건더기를 국물에서 따로 건져 두다.
- 이론과 실제가 따로 떨어져 있다.
- 손잡이가 따로 노는 걸 보니 고장이 난 것 같다.
- 이름이 나루터라고 설명한 술집은 대문을 한식으로 꾸몄지만 밀실은 양탄자를 깔고 화장실까지 따로 갖춘 곳이었다.≪안정효, 하얀 전쟁≫
- 우리 두 사람은 그 공동의 화제에 휩쓸리는 대신 언제나 두 사람만의 화제를 따로 가지고 있었다.≪이청준, 조율사≫
- “우리들은 우리대로 볼일이 있어서 가네. 자네도 볼일이 있거든 따로 가서 만나게.”≪송기숙, 녹두 장군≫
- 나는 늘 바닷가에 앉아 있었다. 바닷가로 따로 갈 필요가 없이 우리 피난살이 집이 부둣가 동네에 있어 그저 나가면 바다를 볼 수가 있었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역사 정보
로(15세기~18세기)>로(18세기~19세기)>로(19세기)>따로(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따로’의 옛말인 ‘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로’는 “떼어내다”의 의미인 ‘*-’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은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으나, “딴, 다른”의 의미인 관형사 ‘’에서 그 존재를 추정할 수 있다. ‘’은 ‘*-’의 관형형이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8세기에는 ‘로’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에는 ‘로’로 나타난다. 19세기에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따로’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로, 로, 로, 따로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