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종이

- 품사
- 「명사」
- 「001」식물성 섬유를 원료로 하여 만든 얇은 물건. 주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인쇄를 하는 데 쓴다.
- 종이 꾸러미.
- 종이 끈.
- 종이 한 장.
- 종이를 뜨다.
- 종이를 자르다.
- 종이를 접다.
- 종이를 찢다.
- 종이에 담배를 말다.
- 음식을 종이에 싸다.
- 종이가 얇다.
- 고쳐 쓴 종이를 여러 겹으로 접고, 실팍한 돌멩이와 함께 헌 종이로 쌌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불 속에서 그 기름진 종이는 순식간에 검게 변하고 오그라들면서 사라진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그 속에 넣었던 책이랑 공책이랑을 모두 들어내고 안을 새 종이로 깨끗하게 발랐다.≪마해송, 아름다운 새벽≫
- 나는 피식 웃으며 종이를 구겨 버렸다.≪이청준, 조율사≫
- 신돌 위에서 허리를 구부린 봉순이는 풀비로 종이에 풀칠을 하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조우(강원, 경남), 조이(강원, 경북, 전북, 충청), 조히(강원, 경북, 전북, 충청), 종(강원), 종우(강원, 경남, 전라), 죙이(경기, 전남, 충남, 황해), 조희(경남, 충남), 종오(경남), 쪼우(경남), 쫑우(경남), 조(경북), 조구(경북), 조호(경북), 조후(경북), 조오(경상), 조외(전라, 함북), 종애(평안, 황해), 종왜(평안, 함북,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종외(평안), 조에(함경), 조애(함남), 죠이(함북)
- 옛말
- 죠
역사 정보
죠(15세기~19세기)>죵(17세기~18세기)>죵희(17세기~19세기)>종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종이’의 옛말인 ‘죠’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 제1음절에 종성 ‘ㅇ’이 첨가된 ‘죵’ 형태가 나타났다. 16세기 이래로 비어두음절의 ‘ㆍ’가 ‘ㅡ’로 변하는 ‘ㆍ’의 제1차 소실이 일어나 ‘죠>죵’의 이중모음 ‘ㆎ’도 ‘ㅢ’로 변화하여 17세기에는 ‘죠희>죵희’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 ‘ㅢ’가 단모음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죵희>*죵히’가 되고 다시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여 ‘*죵이’가 된 후 현대 국어의 ‘종이’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19세기에는 ‘됴, 됴희’ 형태도 나타나는데, 이는 ‘죠, 죠희’가 ㄷ구개음화를 겪은 형태로 오해하여 이를 과도 교정한 형태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죠, 죠희, 죵, 됴, 됴희, 죵희, 조희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4)
- 관용구종이 한 장(의) 차이
- 사물의 간격이나 틈이 지극히 작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종이도 네 귀를 들어야 바르다
- 종이도 네 귀를 다 들어야 어느 한 귀도 처짐이 없이 판판해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힘을 합쳐야 올바르게 되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종잇장도 네 귀를 들어야 바르다’
- 속담종이 한 장도 들 탓
- 무슨 일이든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일의 성과가 좌우됨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속담종이 한 장도 맞들면 가볍다[낫다]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의 북한 속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