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누린내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짐승의 고기에서 나는 기름기의 냄새.
개장 끓이는 누린내가 평양 성중에 가득하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누린내(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누린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누린내’는 ‘누리다’의 관형형 ‘누린’과 ‘냄새’의 의미인 ‘내’가 결합한 통사적 구성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누린내
세기별 용례
15세기 : (누린내)
 그릇 누린내 나 어니 ≪1496 육조 하:5ㄴ-6ㄱ
17세기 : (누린내)
튼 비린내 누린내 머리터럭  내 갓가이 마티디 말라 ≪1608 언두 하:43ㄱ
18세기 : (누린내)
사슴의 고기가 아모리 軟고 죠타 여도 얻더면 누린내가 나되 ≪1790 인어 2:2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