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들리다발음 듣기]
활용
들리어[들리어발음 듣기/들리여발음 듣기](들려[들려]), 들리니[들리니]
품사
「동사」
「004」사람이나 동물의 감각 기관을 통해 소리가 알아차려지다. ‘듣다’의 피동사.
어디서 음악 소리가 들린다.
밤새 천둥소리가 들렸는데 아침에는 날이 맑게 개었다.
그는 귓병을 앓아서 귀가 잘 들리지 않는다.
전화가 고장이 났는지 잘 들리지 않는다.
명식이 댁도 담 너머 집에 들릴까 봐 조그만 목소리로 달래는 기색이다.≪염상섭, 대목 동티≫

역사 정보

들이다(15세기~19세기)>들리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들리다’의 옛말인 ‘들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들이다’는 ‘듣-’과 피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듣-’은 모음 앞에서 ‘들-’로 나타나고 그 외의 환경에서는 ‘듣-’으로 나타나는 ㄷ 불규칙 용언이다. 따라서 ‘듣-’은 피동 접미사 ‘-이-’ 앞에서 ‘들-’로 나타나며, 중세 국어에서는 피동 접미사가 있는 경우 연철 표기를 하지 않으므로 ‘들이-’로 나타난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 소멸되고 어중에 ‘ㄹ’이 추가되어 16세기에 ‘들리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들니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어중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였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들이다, 들리다, 들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들이다)
시울  소리 잣 안히 다 들이더라1447 석상 3:14ㄱ
三昧力으로 그 琴ㅅ 소리 三千大千世界예 들이게 시니 ≪1459 월석 21:207ㄴ
16세기 : (들이다, 들리다)
말 소리 들이거든 드러가고 말미 들이디 아니커든 드디 말며 ≪1518 번소 4:11ㄴ
馮이 새바긔 賈의게 유무 들이거늘1588 소언 6:116ㄴ
말이 들리거든 들고 말이 들리디 아니커든 드디 아니며 ≪1588 소언 3:10ㄴ
17세기 : (들이다, 들리다)
能 이리 重譯 해 들이니1632 두시-중 19:14ㄴ-15ㄱ
어미 뉴시 효으로 셰샹의 들리니라 ≪1617 동신속 열6:44ㄴ≫
18세기 : (들니다)
이  계집은 어딘 덕이 소릐 들니리라1737 여사 2:23ㄱ
엇지 불희 업 말이 귀예 들니리오1777 명의 권수하존현각일기:6ㄴ
19세기 : (들이다, 들리다, 들니다)
말을 지어 을의 귀의 들여 보여 ≪1852 태상 3:31ㄴ
일홈과 소 졔후의 들리더라1832 십구 2:24ㄴ-25ㄱ
홀연이 슬픈 우름 소 들니거1852 태상 3:21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