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데우다발음 듣기]
활용
데우어[데우어발음 듣기](데워[데워]), 데우니[데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식었거나 찬 것을 덥게 하다.
물을 데우다.
아내는 밤늦게 들어온 남편을 위해 찌개를 데우고 밥상을 차렸다.
끼고 누웠던 진주집을 깨워서 술을 데워 서너 잔이나 마시었으나 역시 잠들 수 없었다.≪최서해, 큰물 진 뒤≫
그 작은 잡풀들이 보조용 땔감으로 유용하게 쓰인다는 걸 발견한 나는 몹시 기뻤다. 방을 데우거나 취사용으로 땔감이 많이 필요했는데 겨울이고 낯선 지방이라 땔감 구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이다.≪송영, 발로자를 위하여, 창작과 비평사, 2003년≫
모두들 잠깐 동안 뜨거운 국물과 소주로 몸을 데우고는 총총 사라져 갔다.≪한창훈,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 창작과 비평사, 2003년≫
냉장고에는 지난밤 만들어둔 찬이 몇 가지나 있었다. 북엇국이나 데우면 근사한 아침이 될 듯했다.≪윤정규, 얼굴 없는 전쟁, 창작과 비평사, 2001년≫
아내는 찌개 하나만을 달랑 데워 늦은 식탁을 차렸다.≪서윤영,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집, 궁리 출판, 2003년≫

역사 정보

데우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데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데우다'는 '데-'에 접미사 '-우-'가 결합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데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데우다)
猛火ㅣ 외야 骨髓 데워 므르게 씨라 ≪1461 능엄 8:103ㄱ
16세기 : (데우다)
이 니란 네 가져가 화로애 데워 오라 ≪1510년대 번노 상:62ㄱ
17세기 : (데우다)
이 니란 네 가져가 화로에 데워 오라 ≪1670 노언 상:55ㄴ-56ㄱ
19세기 : (데우다)
솟테 물을 시 데워1869 규합 20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