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쏘ː다

- 활용
- 쏘아[쏘아](쏴[쏴ː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으로 …을】
- 「001」((‘…에/에게’ 대신에 ‘…을 향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활이나 총, 대포 따위를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발사하다.
- 적의 진지에 대포를 쏘다.
- 도망자에게 총을 쏘다.
- 과녁을 향해 정확하게 화살을 쏘다.
- 멈추지 않으면 쏜다.
- 장수는 방금 화살을 당기어 쏘려던 활을 멈추어 옆에 끼고 그대로 말을 달렸다.≪박종화, 임진왜란≫
- 준태는 쏘던 총을 멈추고 담배를 꺼내어 불을 붙였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 이 소리를 듣자 한 군사가 분함을 참지 못하여 활을 들어 어린이를 쏘려 한다.≪박종화, 임진왜란≫
- 대포로 적의 진지를 쏘다.
- 궁수는 날카로운 화살로 적의 장수를 쐈다.
- 그 어린아이를 총으로 쏘다니 끔찍한 일이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쏘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쏘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문헌에 ‘쏘다’가 나타난 것은 어두 경음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ㅂ계 합용 병서인 ‘ㅄ’은 대부분 근대 국어 시기에 된소리 ‘ㅆ’으로 변하하는데 ‘쏘다’의 경우 그 변화가 빨랐던 것으로 보인다. 이 ‘쏘다’는 15세기에 ≪원각경언해≫(1465) 이후 각자 병서를 사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소다’로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근대 국어 시기에 다시 ‘ㅆ’을 살려 씀에 따라 ‘쏘다’가 나타나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쏘다, 소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쏘아 놓은 살이요 엎지른[엎질러진] 물이다
- 한번 저지른 일을 다시 고치거나 중지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쏟아진 물’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