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다ː하다

- 활용
- 다하여[다ː하여](다해[다ː해]), 다하니[다ː하니]
- 품사
- 「동사」
- 「001」어떤 것이 끝나거나 남아 있지 아니하다.
- 기름이 다하다.
- 그들은 적군의 군량이 다하기를 기다렸다.
- 노의 도움 없이도 내처 한참을 저절로 미끄러지던 힘이 다하는 자리에서 뗏목은 비로소 멈추었다.≪윤흥길, 완장≫
- 그는 일단 그 웃음을 터트리면 재채기라도 하듯 숨이 다할 때까지 계속 웃었다.≪홍성원, 육이오≫
- 서희 입에서 술이 다할 때까지 바가지는 떨어지지 않았다.≪박경리, 토지≫
- 살아갈 의미를 잊었다는, 그런 거창한 표현으로선 슬픔의 의미를 다할 수가 없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방 안에 가득 고인 악취 때문에 석유가 다해 심지 타는 매캐한 냄새가 되레 숨을 돌리게 했다.≪박완서, 미망≫
관련 어휘
- 옛말
- 다다
역사 정보
다다(15세기~19세기)>다하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다하다’의 옛말인 ‘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다’는 부사 ‘다’와 동사 ‘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없어짐에 따라 ‘-’도 ‘하-’로 변화하면서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다하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한편 중세국어에는 ‘다다’와 의미가 같은 동사 ‘다다’도 존재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다다, 다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