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지지르다]
활용
지질러[지질러], 지지르니[지지르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기운이나 의견 따위를 꺾어 누르다.
그는 내 의견을 한마디로 지질러 버렸다.

역사 정보

지즐다(15세기~17세기)/지즐우다(15세기~16세기)>지지르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지지르다’의 옛말 ‘지즐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어형에 사동 접미사 ‘-우-’가 결합한 어형으로 보이는 ‘지즐우다’도 15세기부터 16세기에 나타나 동일한 뜻으로 쓰인다. ‘지즐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모두 ‘지즐-’로 나타나는 규칙 활용을 하였다. 그런데 17세기에 나타난 분철 표기 ‘지즐어’와 같은 어형을 보면 언중들은 ‘지즐다’를 ‘지즈르-/지즐ㅇ-’과 같은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으로 상정하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제2음절의 ‘즈’가 ‘지’로 바뀌는 전설 고모음화 현상과 ‘ㄹㅇ’의 불규칙 활용이 ‘ㄹㄹ’의 불규칙 활용으로 바뀌는 현상에 의하여 현재의 ‘지지르-/지질ㄹ-’과 같은 불규칙 동사가 완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지지르다’는 19세기부터 나타나 현재에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지즐다, 지즐우다, 지지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지즐다, 지즐우다))
疑心ㅅ 불휘 긋디 몯호미 돌히 플 지즈룸 갇야 ≪1467 목우 37ㄴ
惡王 지즐워 주겨든 娑竭龍王이 뎌 宮殿을 디워 ≪1459 월석 25:47ㄴ-48ㄱ
16세기 : ((지즐우다))
지즐울  壓 지즐울 압 ≪1527 훈몽 하:5ㄴ
17세기 : ((지즐다))
거츤 헷 봄 픐비츨 지즐어 안조 肯許시면 ≪1632 두시-중 21:4ㄴ
19세기 : ((지지르다))
지지르다 壓 ≪1880 한불 56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