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새로

- 품사
- 「부사」
- 「001」지금까지 있은 적이 없이 처음으로.
- 새로 개발한 기술.
- 오늘 점심에는 새로 개업한 식당에 가 보자.
- 그는 테니스 모임에 새로 가입했다.
- 큰 냉장고를 가게에 새로 들여왔다.
- 강은 은박지를 펴 놓은 것처럼 불투명하고 무겁게 번쩍이고 있었고, 상류 쪽에는 새로 놓인다는 다리의 교각이 보였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이리하여 새로 들어온 그 사람은 대뜸 우리 일꾼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지니기 시작했다.≪이호철, 소시민≫
- 주인 사내가 형태를 밀어 넣다시피 한 방은 뒤꼍에 새로 지은 집이었다.≪한수산, 유민≫
- 수영은 잡지 중에 새로 나온 것 한 권을 펴 들고 제목만 훑어보다가 병식의 시가 실린 것을 발견하였다.≪심훈, 영원의 미소≫
- 가실왕은 이 가야금이 완성된 후 우륵에게 새로 만든 가야금을 위하여 곡을 지으라고 명하였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사업 계획은 주정수처럼 벽돌 공장을 세우자든가, 집을 짓자든가 하는 것이 아니었다. 새로 길을 뚫거나 공원을 만들자는 것도 아니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 흑인인 심슨 상병은 그때까지만 해도 어머니가 새로 낸 술집에 자주 들르는 사람이었다.≪이상문, 황색인≫
- 땡땡거리며 꾸물꾸물 기어가는 것 같은 낡은 전차가 아니라 새로 도입된 신식 전차였다.≪이호철, 소시민≫
역사 정보
새로(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새로’는 15세기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 단어는 “새롭다”의 뜻인 ‘새’에 부사 파생 접미사 ‘-로’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소멸로 원래 ‘ㆍ’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이 ‘ㅏ’로 바뀌어 표기되자 이에 대해서 원래 ‘ㅏ’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도 ‘ㆍ’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로’는 이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새로, 로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새로 집 지은 후 삼 년은 마음을 못 놓는다
- 새로 집을 짓고 살면 처음 삼 년은 무슨 사고가 있을까 하여 마음을 놓지 못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