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새로이

- 품사
- 「부사」
- 「001」전에 없던 것이 처음으로.
- 새로이 우리 일행에 동참하게 된 사람은 김 군이었다.
- 이 싸움에서 새로이 각광(脚光)을 받게 된 것은 이성계(李成桂)였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적병들은 시각을 지체치 않고 성 북편에 새로이 성을 쌓아 올리기 시작한다.≪박종화, 임진왜란≫
- 14개 반에서 사오 명씩 떨어져 나와 새로이 편성된 새 반의 분위기는 사뭇 숙연했다.≪전상국, 우상의 눈물≫
- 불교 신앙이 한층 두터워짐에 따라 서울을 비롯하여 국내 각지에 대소 사찰이 새로이 건립되던 때이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아침에 일어나면 신문도 읽으며, 편지가 배달되면 편지도 보고, 새로이 잡지가 나오면 잡지도 뒤적이며, 그 위에 더 좀 여가가 있다면 단행본(單行本) 같은 것도 읽는다.≪김진섭, 생활인의 철학≫
- 구마산이 말 그대로 예전부터 있어 온 마산포라면 신마산은 구마산 남쪽에 왜정 시대 일본인들이 새로이 터를 잡은 신시가지였다.≪김원일, 불의 제전≫
- 서울로 돌아온 뒤에도 새로이 영의정이 된 유성룡한테 임금의 자리를 내놓고 선위(禪位)할 뜻을 자주 표시했다.≪박종화, 임진왜란≫
- 김부식은 새로이 일어난 큰 세력 금(金)나라에게 무릎을 꿇자는 인물이요,….≪박종화, 다정불심≫
- 그리고 전체 회의를 열어 새로이 온 사람 가운데 하나는 본래 있던 산막에 기거시키기로 하고….≪이병주, 지리산≫
역사 정보
새로이(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새로이’는 15세기부터 나타나 현재에 이어진다. 이 단어는 ‘새롭-’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15세기 초기이었으면 ‘새로’로 쓰였을 것이나 문헌에 보이지는 않는다.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소멸로 원래 ‘ㆍ’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이 ‘ㅏ’로 바뀌어 표기되자 이에 대해서 원래 ‘ㅏ’를 가지고 있던 단어들도 ‘ㆍ’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로이’는 이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새로이, 로이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