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살피다발음 듣기]
활용
살피어[살피어발음 듣기/살피여발음 듣기](살펴[살펴]), 살피니[살피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두루두루 주의하여 자세히 보다.
사방을 살피다.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주위를 잘 살피고 나서 건너야 한다.
그는 주변을 살피며 낮은 목소리로 말했다.
그 높고 험한 지대를 밤새워 살피고 돌아다녀야 하는 것이 정찰대의 임무이다.≪이병주, 지리산≫
김철을 만나고 싶던 동영은 그 길로 김철을 찾아 사방을 찬찬히 살피기 시작했다.≪이문열, 영웅시대≫
사내는 훈의 얼굴을 한번 쳐다보고는 훈의 어깨 너머로 골목 밖을 살피는 것이었다.≪황순원, 카인의 후예≫

역사 정보

피다(15세기~19세기)>살피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살피다’의 옛말인 ‘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계속 쓰였다. 한편 근대 국어 시기 ‘ㆍ’의 음가 변동으로 ‘ㆍ’가 ‘ㅏ’로 되는 현상으로 ‘피다’는 ‘살피다’로 변화하는데 이 변화가 18세기부터 보인다. ‘피다’는 첫째 음절 받침 ‘ㄹ’과 둘째 음절의 초성 ‘ㅍ’의 관계 때문에 많은 근대 국어 시기에 많은 중철 표기가 보인다. ‘피다, 히다’ 등이 그것이다. 이 중 ‘피다’는 16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피다, 피다, 히다, 살피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피다)
부톄 靈거시든 애 情誠을 피쇼셔 니 ≪1447 석상 24:32ㄱ
이 因緣으로 十方애 펴 求야도 외야 녀나 乘 업스니 ≪1463 법화 2:148ㄴ
16세기 : (피다, 피다)
光 두르혀 도라 펴 피고  보아 昏沈과 散亂애 재 힘  ≪1517 몽산-고 법:11ㄱ
定과 慧와 둘 피면 다 잇니 ≪1522 법집 87ㄱ
17세기 : (피다, 피다)
탈상고 됴셕의 분묘 피되 비 눈의 폐티 아니더라 ≪1617 동신속 효5:22ㄴ≫
잘 제와 더운 치운 피 죠고매도 게을이 아니더니 ≪1617 동속 효:33ㄴ≫
맛치 됴히 도적 잡 官員이 와 거긔셔 피거 그 客人이 즉제 告니 ≪1670 노언 상:26ㄴ
18세기 : (피다, 피다, 히다, 살피다)
믈읏 이 열네가지 내다 깁히 피디 몯논디라 ≪1737 어내 1:22ㄱ
察看 피다1748 동해 하:55ㄴ
察看 피다1790 몽해 하:47ㄱ
이제 스로 히고쟈 띤대 지 아니고 엇지료 ≪1746 자성 내:27ㄱ
내 일즉 장 히지 못엿더니 ≪1765 청노 6:4ㄴ
 그 주리며 치우며 병들며 더우믈 살피며1796 경신 76ㄱ
19세기 : (피다, 히다, 살피다)
날마다 그 졍셩을 피시고 이에 칠 삼녀 두게 샤 ≪1852 태상 1:1ㄴ
반시 병든 근원을 히고 병든 을 혜여 보와 ≪1883 이언 서:2ㄴ
적고 적은 물건을  샹 히샤 보호시니라 ≪1894 훈아 7ㄴ
본 의원던 사으로 병을 보 셰히 살피지 못여  부인이 스로 니로 ≪1852 태상 5:56ㄱ
살피다 省察 살필 성 省 視察 살필 찰 察 ≪1895 국한 16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