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배우다발음 듣기]
활용
배우어[배우어발음 듣기](배워[배워]), 배우니[배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서/에게서 …을】
「001」((‘…에게서’ 대신에 ‘…에게’가, ‘…에서/에게서’ 대신에 ‘…을 통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새로운 지식이나 교양을 얻다.
한국에 유학 온 외국인에게서 외국어를 배우다.
학교에서 국어 문법을 배우다.
형의 행동은 배운 사람다운 것이었다.
제군은 이제 대학에 가 더 많은 것을 배우게 될 것이다.≪조세희, 뫼비우스의 띠≫
이 박사는 역사를 배우고 사회학을 배우고 윤리학까지 배우고 성경까지도 배웠다.≪이광수, 흙≫
대학교 이학년 때부터 병수 씨는 일주일에 두 번쯤 시간을 내어 친구들과 함께 빈민가에서 배우지 못한 청소년들을 가르치며 야학 교사를 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호다(15세기~19세기)>오다(19세기)>배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배우다’의 옛말인 ‘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한 ‘오다’ 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근대국어 후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이중모음 ‘ㆎ’도 ‘ㅐ[ay]’로 바뀌고,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였는데, 이러한 현상이 반영된 ‘배오다’형태가 19세기에 나타난다. ‘배오다’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뀐 ‘배우다’ 형태도 등장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호다, 후다, 오다, 배오다, 배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호다)
淨居天이 禮 아라 세  도라 須達이 보아 호니1447 월곡 55ㄴ
學堂 글 호 지비라 ≪1447 석상 3:7ㄴ
目連이  太子 羅睺羅ㅣ 나히 마 아호빌 出家여 聖人ㅅ 道理 화 리니 ≪1447 석상 6:3ㄴ
16세기 : (호다)
네 뉘손 글 혼다 내 되의셔 글 호라1510년대 번노 상:2ㄴ
홀  ≪1527 훈몽 하:13ㄴ
홀 습 ≪1527 훈몽 하:14ㄱ
홀  習 니길 습 ≪1576 신합 하:8ㄴ
조 모로매 화 리니 홈곳 아니면 조 너푤 주리 업고 ≪1518 번소 6:16ㄴ
17세기 : (호다)
디례현 사 윤은보 셔즐이 다 댱지도의게 호더니 댱이 죽거 두 사이 시묘 사라 ≪1617 동삼 효:4ㄴ≫
너비 화 그 잘 고 모 법대로 호믈 고 고로이 더라 ≪1617 동신속 효6:26ㄴ≫
말이 간냑고 글을 샹담으로 호믄 셩이 호디 아니야도 알기 쉽과댜 호미니 ≪1658 경민-개 서 3ㄱ
18세기 : (호다)
學生의 호 글이 이 무 글고 이 五經 四書ㅣ로소이다 ≪1721 오륜전비 1:20ㄱ
無父無君의 敎ㅣ니 世上 사으로 여곰 다 뎌 화 修行면 天下 國家事 눌로 여 호게 리오 ≪1721 오륜전비 1:8ㄱ
19세기 : (호다, 후다, 오다, 배오다, 배우다)
만국 말을 호지 아니여도 알고 ≪1865 주년 98ㄴ
내가 쟝셩 후로브터 춍명 사의 일을 화 혹 조흔 거 엇으랴 야 면을 라보며 여긔지 왓노라 ≪1894 천로 1:64ㄴ
로 밉고 투긔믈 며 후 게 일우지 못되 스로 져바리고 ≪1880 삼성 23ㄱ
유인이 긔긔히 네겨 갈오 이 사이 오지 코 엇지 글 아뇨 ≪1887 성전 요한7:15
우리들이 이믜 익킬 習이란 글 왓거니와1896 심상 2:13ㄱ
배오다1895 국한 46
배울 학 學 ≪1884 정몽 28ㄱ

관용구·속담(1)

속담배우는 것은 죽을 때까지 배워도 다 못 배운다
죽을 때까지 배워도 다 배우지 못한다는 뜻으로, 나이가 든 후에도 끊임없이 배우고 수양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