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때

- 품사
- 「명사」
- 「009」옷이나 몸 따위에 묻은 더러운 먼지 따위의 물질. 또는 피부의 분비물과 먼지 따위가 섞이어 생긴 것.
- 때를 밀다.
- 때를 벗기다.
- 가구에 때가 끼다.
- 빨래를 해도 때가 안 빠진다.
- 옷에 묻은 때를 말끔히 씻었다.
- 그 아이는 한여름인데도 때가 까맣게 낀 장구통 배를 득득 긁던 손을 들어 나를 가리키면서 사내에게 뭐라고 짤막한 말을 했다.≪윤흥길, 장마≫
- 얼굴을 씻고는 경락이는 때가 까맣게 묻어 있는 셔츠 칼라를 손가락으로 툭툭 치고는 그대로 입어 버린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때-자국(강원, 경상, 충청), 떼-자구(경남), 때-짜구(경북, 충북), 태(제주), 때자리(충남)
- 옛말
-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17세기~19세기)>(18세기)>때(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때’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 ‘’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는 ‘ㆎ’가 ‘ㅐ’로 변화하여 ‘’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9세기에 ‘때’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 , , 때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관용구때 빼고 광내다
- 몸치장을 하고 멋을 내다.
- 오늘은 선보는 날이어서 오랜만에 때 빼고 광냈다.
- 그녀는 아침부터 때 빼고 광내는 정성을 들이고 마지막으로 미용실을 찾았다.
- 속담때 묻은 왕사발 부시듯
- 때가 묻은 큰 사발을 물에 부시듯 소리가 요란스럽게 들린다는 뜻으로, 대수롭지 않은 일을 크게 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