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뚜껑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그릇이나 상자 따위의 아가리를 덮는 물건.
뚜껑을 덮다.
뚜껑을 닫다.
장독 뚜껑을 열다.
친구는 그릇 뚜껑에 음식을 덜어서 먹었다.
순철은 자신도 뚜껑의 술을 비우고 나서 이번에는 환국의 뚜껑에다 아주 소량의 술을 부어 준다.≪박경리, 토지≫
상에 하나 가득 놓인 하얀 그릇들이 하나같이 뚜껑이 덮여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먼저 놋 주발의 뚜껑을 걷고 수저를 들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나는 얼핏 정신을 차리고 독수리 부리처럼 삐죽한 바위에 걸터앉아 수통의 뚜껑을 돌려 닫고 있던 중대장을 쳐다보았다.≪안정효, 하얀 전쟁≫
그리고 준태로부터 아쉬운 듯 떨어져 나가 맥주병 뚜껑을 땄다.≪조해일, 왕십리≫
혹시 그가 파 보지 않은 사이에 어느 놈이 훔쳐 갔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손을 떨리게 하고 있었다. 뚜껑을 벗기고 손을 식기 통 속에 넣어 보았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비슷한말
개자(蓋子), 덮-개
지역어(방언)
두껑(강원, 전북, 제주, 충청), 드베이(강원), 따까리(강원, 경상, 전남, 중국 흑룡강성), 따깡(강원, 경기, 충청), 따껑(강원), 뚜까리(강원, 전남), 뚜께(강원, 경기, 경상, 전남, 충청, 평안, 함경), 뚜꼉(강원, 전북, 충북), 뚱에(강원), 뛰에(강원), (경기), 개-뜨배이(蓋뜨배이)(경남), 뒤벵이(경남), 따거뱅이(경남), 따그뱅이(경남), 따꺼베이(경남), 땅갑치(경남), 때까리(경남), 떠꺼배이(경남), 떠꺼벙(경남), 떠껑(경남, 황해), 떠꿍(경남, 평북), 떠끄리(경남), 떼까리(경남), 뚜겅(경남, 전라, 중국 길림성), 뚜게이(경남), 뚜겡이(경남, 전남), 뚜껭(경남), 뚜꾸배이(경남), 뚜꾸뱅이(경남), 뚜꾸베이(경남), 뚜꾸벵이(경남), 뚜낑(경남), 뚜방(경남, 중국 흑룡강성), 뚜벙(경남, 전남), 뚜베이(경남, 중국 흑룡강성), 뚜봉(경남), 뜨그배이(경남), 뜨꺼리(경남), 뜨꺼븡(경남), 뜨께(경남), 뜨벙(경남), 뜨베이(경남), 뜨벵이(경남), 뜨붕(경남), 띠기(경남), 띠꺼리(경남), 띠끼(경남), 두깨(경북, 충남), 두꺼리(경북), 두꿍(경북), 두끼(경북), 뒤비(경북), 뒹이(경북), 따까이(경북), 따깨비(경북), 떠거리(경북), 떠까리(경북), 떠께(경북, 충남, 평안, 함경,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떠왜(경북), 뚜깨(경북), 뚜깨비(경북), 뚜꺼뻥(경북), 뚜꺼뼁(경북), 뚜껭이(경북), 뚜낑이(경북), 뚜베(경북, 함경), 뚜왜(경북), 뜅이(경북), 뜨깽이(경북), 뜨벵(경북, 중국 흑룡강성), 뜨비이(경북), 띄꺼리(경북), 띠깅(경북), 띠깽-이(경북), 띠께이(경북), 띠비이(경북), 띠애(경북), 개뜨-뱅이(경상), 두벵이(경상), 따깨이(경상, 중국 흑룡강성), 따깽이(경상, 전남), 떠깨이(경상, 평안,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떠깽이(경상, 평안, 중국 흑룡강성), 떠꺼리(경상), 떼께(경상, 중국 흑룡강성), 뚜께이(경상, 중국 흑룡강성), 뚜꿍(경상, 충남, 평남), 뚜끼(경상), 뚜벵이(경상), 띠끼미(경상), 띠낑이(경상), 띠뱅이(경상), 띠빙이(경상, 함경), 뚜겡(전남), 뚜꿩(전남), 뛰겡(전남), 뛰엉(전남), 뚜경(전라), 뚜께리(전라), 두꽁(전북), 두껑이(제주), 두께(제주, 충남), 두껭이(제주), 두꿰(제주), 두엉(제주), 뚜껑이(제주, 충남, 함남, 중국 흑룡강성), 뚜꿰(제주), 뚜뀅이(제주), 도깨(충남), 두투래(충남), 떠깡(충남), 또깡(충남), 뒤깨(충북), 뚜깡(충북), 뚜꽁(충북), (충북), (충청, 황해), 뚜끙(평남), 떠깡이(평북), (평북, 중국 요령성), 더깨(평안, 함경), 두베(함경), 드베(함경), 뜨베(함경), 띠베(함경, 중국 길림성), 두벙(함남), 드비(함남), 드빙이(함남), 뚜비(함남, 중국 흑룡강성), 뜨붕이(함남), 띠비(함남), 돞-괘(함북), 디배(함북), 디뱅이(함북), 따깨(황해), 따꽁(황해), 따꿍(황해)
옛말
둡-게, 두에

역사 정보

둣겅(19세기)>뚜껑(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뚜껑’의 옛말인 ‘둣겅’은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둣겅’은 제1음절 초성 ‘ㄷ’이 된소리화되고, 제1음절 종성의 영향으로 제2음절 초성 ‘ㄱ’이 경음화된 뒤 제1음절 종성 ‘ㅅ’이 탈락되면서 20세기 이후 ‘뚜껑’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에 제1음절 종성 ‘ㅅ’이 없는 ‘두겅’과 ‘둣겅’의 제1음절 종성이 제2음절 초성 ‘ㄱ’에 동화된 ‘둑겅’도 함께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두겅, 둑겅, 둣겅
세기별 용례
19세기 : (두겅, 둣겅, 둑겅)
두겅 盖 ≪1880 한불 501
둑겅 盖冠 ≪1880 한불 501
둣겅 盖 ≪1880 한불 505

관용구·속담(3)

관용구뚜껑을 덮다
하던 말이나 일을 그만두다.
  • 천남석에 관한 일은 그쯤에서 아예 뚜껑을 덮어 버리려는 눈치였다. ≪이청준, 이어도≫
관용구뚜껑(을) 열다
사물의 내용이나 결과 따위를 보다.
  •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투표 결과가 예상과는 달랐다.
관용구뚜껑이 열리다
사물의 내용이나 결과 따위가 드러나다.
  • 이번 수상자는 뚜껑이 열려야 알 수 있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