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뚜껑

- 품사
- 「명사」
- 「001」그릇이나 상자 따위의 아가리를 덮는 물건.
- 뚜껑을 덮다.
- 뚜껑을 닫다.
- 장독 뚜껑을 열다.
- 친구는 그릇 뚜껑에 음식을 덜어서 먹었다.
- 순철은 자신도 뚜껑의 술을 비우고 나서 이번에는 환국의 뚜껑에다 아주 소량의 술을 부어 준다.≪박경리, 토지≫
- 상에 하나 가득 놓인 하얀 그릇들이 하나같이 뚜껑이 덮여 있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먼저 놋 주발의 뚜껑을 걷고 수저를 들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나는 얼핏 정신을 차리고 독수리 부리처럼 삐죽한 바위에 걸터앉아 수통의 뚜껑을 돌려 닫고 있던 중대장을 쳐다보았다.≪안정효, 하얀 전쟁≫
- 그리고 준태로부터 아쉬운 듯 떨어져 나가 맥주병 뚜껑을 땄다.≪조해일, 왕십리≫
- 혹시 그가 파 보지 않은 사이에 어느 놈이 훔쳐 갔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손을 떨리게 하고 있었다. 뚜껑을 벗기고 손을 식기 통 속에 넣어 보았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두껑(강원, 전북, 제주, 충청), 드베이(강원), 따까리(강원, 경상, 전남, 중국 흑룡강성), 따깡(강원, 경기, 충청), 따껑(강원), 뚜까리(강원, 전남), 뚜께(강원, 경기, 경상, 전남, 충청, 평안, 함경), 뚜꼉(강원, 전북, 충북), 뚱에(강원), 뛰에(강원), 뛔(경기), 개-뜨배이(蓋뜨배이)(경남), 뒤벵이(경남), 따거뱅이(경남), 따그뱅이(경남), 따꺼베이(경남), 땅갑치(경남), 때까리(경남), 떠꺼배이(경남), 떠꺼벙(경남), 떠껑(경남, 황해), 떠꿍(경남, 평북), 떠끄리(경남), 떼까리(경남), 뚜겅(경남, 전라, 중국 길림성), 뚜게이(경남), 뚜겡이(경남, 전남), 뚜껭(경남), 뚜꾸배이(경남), 뚜꾸뱅이(경남), 뚜꾸베이(경남), 뚜꾸벵이(경남), 뚜낑(경남), 뚜방(경남, 중국 흑룡강성), 뚜벙(경남, 전남), 뚜베이(경남, 중국 흑룡강성), 뚜봉(경남), 뜨그배이(경남), 뜨꺼리(경남), 뜨꺼븡(경남), 뜨께(경남), 뜨벙(경남), 뜨베이(경남), 뜨벵이(경남), 뜨붕(경남), 띠기(경남), 띠꺼리(경남), 띠끼(경남), 두깨(경북, 충남), 두꺼리(경북), 두꿍(경북), 두끼(경북), 뒤비(경북), 뒹이(경북), 따까이(경북), 따깨비(경북), 떠거리(경북), 떠까리(경북), 떠께(경북, 충남, 평안, 함경,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떠왜(경북), 뚜깨(경북), 뚜깨비(경북), 뚜꺼뻥(경북), 뚜꺼뼁(경북), 뚜껭이(경북), 뚜낑이(경북), 뚜베(경북, 함경), 뚜왜(경북), 뜅이(경북), 뜨깽이(경북), 뜨벵(경북, 중국 흑룡강성), 뜨비이(경북), 띄꺼리(경북), 띠깅(경북), 띠깽-이(경북), 띠께이(경북), 띠비이(경북), 띠애(경북), 개뜨-뱅이(경상), 두벵이(경상), 따깨이(경상, 중국 흑룡강성), 따깽이(경상, 전남), 떠깨이(경상, 평안,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떠깽이(경상, 평안, 중국 흑룡강성), 떠꺼리(경상), 떼께(경상, 중국 흑룡강성), 뚜께이(경상, 중국 흑룡강성), 뚜꿍(경상, 충남, 평남), 뚜끼(경상), 뚜벵이(경상), 띠끼미(경상), 띠낑이(경상), 띠뱅이(경상), 띠빙이(경상, 함경), 뚜겡(전남), 뚜꿩(전남), 뛰겡(전남), 뛰엉(전남), 뚜경(전라), 뚜께리(전라), 두꽁(전북), 두껑이(제주), 두께(제주, 충남), 두껭이(제주), 두꿰(제주), 두엉(제주), 뚜껑이(제주, 충남, 함남, 중국 흑룡강성), 뚜꿰(제주), 뚜뀅이(제주), 도깨(충남), 두투래(충남), 떠깡(충남), 또깡(충남), 뒤깨(충북), 뚜깡(충북), 뚜꽁(충북), 뛰(충북), 깨(충청, 황해), 뚜끙(평남), 떠깡이(평북), 똥(평북, 중국 요령성), 더깨(평안, 함경), 두베(함경), 드베(함경), 뜨베(함경), 띠베(함경, 중국 길림성), 두벙(함남), 드비(함남), 드빙이(함남), 뚜비(함남, 중국 흑룡강성), 뜨붕이(함남), 띠비(함남), 돞-괘(함북), 디배(함북), 디뱅이(함북), 따깨(황해), 따꽁(황해), 따꿍(황해)
역사 정보
둣겅(19세기)>뚜껑(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뚜껑’의 옛말인 ‘둣겅’은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둣겅’은 제1음절 초성 ‘ㄷ’이 된소리화되고, 제1음절 종성의 영향으로 제2음절 초성 ‘ㄱ’이 경음화된 뒤 제1음절 종성 ‘ㅅ’이 탈락되면서 20세기 이후 ‘뚜껑’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에 제1음절 종성 ‘ㅅ’이 없는 ‘두겅’과 ‘둣겅’의 제1음절 종성이 제2음절 초성 ‘ㄱ’에 동화된 ‘둑겅’도 함께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두겅, 둑겅, 둣겅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