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올리다발음 듣기]
활용
올리어[올리어발음 듣기/올리여발음 듣기](올려[올려]), 올리니[올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값이나 수치, 온도, 성적 따위를 이전보다 많아지게 하거나 높이다. ‘오르다’의 사동사.
값을 올리다.
임금을 올리다.
속력을 올려 빠르게 달렸다.

관련 어휘

옛말
올이다

역사 정보

올이다(15세기~19세기)>올리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올리다’의 옛말인 ‘올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제2음절의 첫소리인 유성후두마찰음 ‘ㅇ’[ɦ]이 16세기에 탈락하면서 ‘ㄹ’이 첨가되어 16세기에 ‘올리다’가 되었다. 19세기까지 ‘올이다’와 ‘올리다’가 공존하다가 ‘올리다’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 ‘올이다’는 동사 ‘오-’에 사동접미사 ‘-ㅣ-’가 결합한 것이다. ‘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올ㅇ-’으로 실현되었기 때문에 사동접미사 ‘-ㅣ-’가 결합한 형태도 ‘올이-’로 나타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올이다, 올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올이다)
石壁에  올이샤 도 다 자시니 현 번 운 미 오리가 ≪1447 용가 48
16세기 : (올이다, 올리다)
내 듣본 일 조차 브텨 됴 말을 올이며 어딘 뎍을 긔록야 小學 外篇을 노라 ≪1518 번소 6:2ㄱ
올릴 텩 ≪1575 천자-광 29ㄱ
만일 아비ㅅ어든 눈을 둘오  올리디 말며 예 리오디 말올디니라 ≪1588 소언 2:15ㄱ
17세기 : (올이다, 올리다)
도마애 올이니 누른 柑子ㅣ 므겁고 ≪1632 두시-중 10:38ㄱ
됴셕의 밥 올리고 시 의복을 지어 ≪1617 동신속 열2:29ㄴ≫
18세기 : (올이다, 올리다)
어디니 노피고 공을 올이노니다1832 십구 1:84ㄱ
이 셰계 일운 후에 도로 올이니 무간 죄뵈 그 일이 일러 ≪1762 지장 상:21ㄱ
그린 후에  반찬 올리고 잡노롯 이 불러 와 뎌 조 놀리 것 보쟈 ≪1765 박신 1:06ㄴ
19세기 : (올이다)
올일 쳑 陟 ≪1884 정몽 25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