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하여금

- 품사
- 「부사」
- 「001」((격 조사 ‘으로’ 뒤에 쓰여)) 누구를 시키어.
- 나로 하여금.
- 과도한 후회와 심통은 그로 하여금 눈물조차 못 흘리게 하였다.≪김동인, 젊은 그들≫
- 오택부로 하여금 ‘그 말’을 하게 하려면 이장이 그의 앞에 나타나야 했습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 그녀는 그로 하여금 재기에 성공하게 한 장본인이다.
- 주님의 뜻에 따라 어리석은 저희로 하여금 가장 작은 배반이라도 저지르지 않게 인도하여 주시옵소서.≪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 사방이 트인 그 둑길로 사십 미터쯤 가야 한다는 게 갑해로 하여금 갑자기 무섬증을 들게 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 대회는 이원조의 긴급동의를 이의 없이 받아들여 집행부로 하여금 결의안을 상정토록 했다.≪이병주, 지리산≫
- 성격상으로도 안평과 온갖 점에 있어서 정반대였다. 이것이 더욱 양녕으로 하여금, 안평을 싫어하게 한 큰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김동인, 대수양≫
- 그러나 장난으로 시작된 고아 사업이 급기야는 에드워드 킬머로 하여금 가장 잘 한국을 이해하도록 한 큰 계기가 된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 간척지를 막은 일이며, 산밭을 치고 일구도록 한 일이며, 아들 최갑식으로 하여금 개막이그물을 막도록 한 일이며, 중선 두 척을 부리게 된 일도 그렇다.≪한승원, 해일≫
- 나는 그런 내 느낌을 그에게 설명하고 싶었다. 그러면 병정은 나로 하여금 경멸감을 느끼도록 만든 자신의 비밀을 떨리는 목소리로 고백하지 않을까.≪이인성, 낯선 시간 속으로≫
역사 정보
여곰(15세기~18세기)>여곰(15세기~19세기)>여금(17세기~19세기)>하여금(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하여금’의 옛말인 ‘여곰’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여곰’은 동사 ‘-’에 사동접미사 ‘-이-’, 연결어미 ‘-어’, 강세 보조사 ‘-곰’이 결합한 것이다. ‘여곰’에서 제1음절의 반모음 ‘ㅣ’가 탈락한 ‘여곰’, ‘야곰’ 형태도 15세기 이래로 공존하였다. 17세기에는 강세 보조사 ‘-곰’이 ‘-금’으로 바뀐 ‘여금’ 형태가 등장하기 시작하여 18세기에는 ‘야금, 여금’ 형태도 나타났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여금’은 현대 국어의 ‘하여금’으로 변화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여곰, 여곰, 야곰, 야곰, 여금, 야금, 여금, 하야곰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