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하늘땅

- 품사
- 「명사」
- 「001」하늘과 땅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이십만 대군을 호령하던 동도 대장도 싸움에 지고 부하를 잃고 나니까 하늘땅 사이에 외로이 버려진 처량한 비렁뱅이와 다름이 없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관련 어휘
역사 정보
하(15세기~17세기)>하(18세기)>하늘땅(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하늘땅’의 옛말로 보이는 말은 15세기 문헌에서 ‘하’으로 나타난다. 이 말은 ‘하+’로 구성된 합성어로 분석된다. 17세기 ≪두시언해 중간본≫을 보면 ‘하’와 같이 ‘ㅅ’이 개재된 형태도 관찰된다. 이 말은 단독형으로 쓰일 때에는 말음 ㅎ이 탈락한 ‘하’로 교체하여 쓰였다. 그러다가 18세기가 되면 ‘하과’에서 보듯이 말음 ㅎ이 아예 탈락한 형태가 쓰이기 시작한다. 이 ‘하’가 ‘ㆍ’의 1단계 소실에 따라 ‘ㆍ>ㅡ’를 반영하고 ‘’를 ‘땅’으로 대체한 형태가 오늘날의 ‘하늘땅’이다. 17세기 문헌에서부터 ‘’이 사용됨을 감안하면 문헌에서 관찰되지는 않지만 ‘*하’과 같은 형태도 17세기 이후부터 쓰이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하, 하, 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