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하늘땅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하늘과 땅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십만 대군을 호령하던 동도 대장도 싸움에 지고 부하를 잃고 나니까 하늘땅 사이에 외로이 버려진 처량한 비렁뱅이와 다름이 없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관련 어휘

역사 정보

하(15세기~17세기)>하(18세기)>하늘땅(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하늘땅’의 옛말로 보이는 말은 15세기 문헌에서 ‘하’으로 나타난다. 이 말은 ‘하+’로 구성된 합성어로 분석된다. 17세기 ≪두시언해 중간본≫을 보면 ‘하’와 같이 ‘ㅅ’이 개재된 형태도 관찰된다. 이 말은 단독형으로 쓰일 때에는 말음 ㅎ이 탈락한 ‘하’로 교체하여 쓰였다. 그러다가 18세기가 되면 ‘하과’에서 보듯이 말음 ㅎ이 아예 탈락한 형태가 쓰이기 시작한다. 이 ‘하’가 ‘ㆍ’의 1단계 소실에 따라 ‘ㆍ>ㅡ’를 반영하고 ‘’를 ‘땅’으로 대체한 형태가 오늘날의 ‘하늘땅’이다. 17세기 문헌에서부터 ‘’이 사용됨을 감안하면 문헌에서 관찰되지는 않지만 ‘*하’과 같은 형태도 17세기 이후부터 쓰이기 시작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하, 하, 하
세기별 용례
15세기 : (하)
仁慈ㅣ 기프실 하히 장 震動니 ≪1447 월곡 8ㄴ
諸天이 보 讚歎며 하히 드러치더 ≪1459 월석 20:53ㄱ
16세기 : (하, 하)
사미 하 이쇼 모면 하 이예 잇디 몯리며 ≪1518 정속-이 2ㄴ
하히며 부톄며 人王이며 貴人 賤人니며 ≪1569 칠대 14ㄴ
17세기 : (하, 하, 하)
어 날 하 졍히 여 됴시의 봄믈 도로 혈고 엿더라 ≪1617 동신속 충1:26ㄴ≫
랑 나그내여 하 이예  서근 션로라 ≪1632 두시-중 3:40ㄱ
西南ㅅ 하 이예  브터 니노라 ≪1632 두시-중 3:67ㄱ
覆載 하 히라17세기 여훈 상:16ㄴ
18세기 : (하)
사의 본심 광명은 하과  광명도 밋지 못 말이라 ≪1776 염보-해 30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