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한낟

- 품사
- 「부사」
- 「001」기껏해야 대단한 것 없이 다만.
- 부도가 난 어음은 한낱 휴지 조각에 불과했다.
- 무너져 버린 요새는 이제 한낱 돌무더기에 불과하게 되었다.
- 이제는 고향에 돌아가 그리운 부모처자와 상봉하게 되리라 싶었던 것은 한낱 부질없는 꿈이었다.≪하근찬, 야호≫
- 특히 통일 같은 거창한 명제에의 집착은 한낱 백일몽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소문은 국가적인 대사로부터 한낱 개인의 스캔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했으며….≪호영성, 파하의 안개≫
- 그러나 그 이홍장도 여섯 자 미만의 한낱 인간이었다. 그도 앞일을 정확히 예견하지는 못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 그 치밀한 작전 계획도 한낱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나지 않았겠소?≪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 의술도 한낱 돈 주고 매매하는 기술이라면 그렇게 철저하게 권위로 위장할 필요가 어디 있겠어요?≪박완서, 오만과 몽상≫
- 그러나 현에게 있어서 이러한 현상은 그의 눈앞을 지나가는 한낱 영화의 화면에 지나지 않았다.≪선우휘, 불꽃≫
- 그러나 자기의 말이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을 때, 그것은 한낱 의미 없는 ‘소리’에 지나지 않는다.≪김인배, 방울뱀≫
- 그러다가 정월이 조금 정신을 차렸을 때에 자기의 이때껏 생각한 것이 한낱 공상에 지나지 못한 것을 생각하고 혼자 생긋 웃었다.≪나도향, 환희≫
- 사실상 오늘날의 모든 개인은 사회라는 거대한 기계의 한낱 부속품이나 다름없는데, 돈이란 매개물이 그 부속품마다에 기름칠을 하고 있는 게 아닐까?≪김원우, 짐승의 시간≫
역사 정보
낱(15세기~19세기)/낯(15세기~19세기)>한낱(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한낱’의 옛말은 15세기 문헌에서 ‘낱’과 ‘낯’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관형사 ‘’에 명사 ‘낱’ 또는 ‘낯’이 결합하여 형성된 합성어로 보인다. 19세기 문헌에서는 ‘낫츨’과 같이 중철 표기도 관찰된다. 현대 국어 ‘한낱’은 ‘낱’이 ‘ㆍ’의 2단계 소실로 ‘ㆍ>ㅏ’의 변화가 일어난 결과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낱, 낟, 낯, 낫ㅊ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