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찌르다

- 활용
- 찔러[찔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에】【…을 …으로】
- 「001」끝이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것으로 물체의 겉면이 뚫어지거나 쑥 들어가도록 세차게 들이밀다.
- 주사기를 엉덩이에 찌르다.
- 그는 도적의 가슴 한복판에 긴 창을 찌르고 다시 그대로 서 있었다.
- 바늘로 손을 찌르다.
- 주사기로 엉덩이를 찌르다.
- 나는 신돌귀 씨를 박대하지 말라는 연주의 편지를 머리에 떠올리고 형의 옆구리를 손가락으로 찔렀다.≪김용성, 도둑 일기≫
- 여자들은 쿡쿡 서로의 허리를 찌르며 웃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역사 정보
디다(15세기~18세기)/디르다(15세기~19세기)>지르다(18세기~19세기)>찌르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찌르다’의 옛말 ‘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디-’가 많은 예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디르다’도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디다’와 공존한다. ‘디르-’는 조금 더 늦은 시기인 19세기까지 나타난다. ‘디르-’ 혹은 ‘디-’는 17세기까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교체형으로 ‘딜ㅇ-’을 가졌는데 17세기부터는 ‘딜ㅇ-’ 대신 ‘딜ㄹ-’로도 나타나며 18세기부터는 ‘딜ㄹ-’로만 나타난다. 한편 구개음화를 겪은 어형인 ‘지르다’가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19세기까지 이어진다. 이후 20세기부터는 어두에서 경음화를 겪은 ‘찌르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디-, 디르-, 딜ㅇ-, 딜ㄹ-, 지르-, 질ㄹ-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찌르고 들어가다
- 활쏘기에서, 활쏘기를 처음에는 거절하였다가 겨루는 날에 추가로 응하다. 이때는 맞은 화살의 반 획을 감한다.
- 관용구찔러 피를 내다
- 공연히 덧들여서 새삼스러운 일을 저지르다.
- 가만히 있지 괜히 찔러 피를 내느냐?
- 속담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 도무지 빈틈이 없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