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찌르다발음 듣기]
활용
찔러[찔러발음 듣기], 찌르니[찌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에】【…을 …으로】
「001」끝이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것으로 물체의 겉면이 뚫어지거나 쑥 들어가도록 세차게 들이밀다.
주사기를 엉덩이에 찌르다.
그는 도적의 가슴 한복판에 긴 창을 찌르고 다시 그대로 서 있었다.
바늘로 손을 찌르다.
주사기로 엉덩이를 찌르다.
나는 신돌귀 씨를 박대하지 말라는 연주의 편지를 머리에 떠올리고 형의 옆구리를 손가락으로 찔렀다.≪김용성, 도둑 일기≫
여자들은 쿡쿡 서로의 허리를 찌르며 웃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역사 정보

디다(15세기~18세기)/디르다(15세기~19세기)>지르다(18세기~19세기)>찌르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찌르다’의 옛말 ‘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디-’가 많은 예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디르다’도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디다’와 공존한다. ‘디르-’는 조금 더 늦은 시기인 19세기까지 나타난다. ‘디르-’ 혹은 ‘디-’는 17세기까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교체형으로 ‘딜ㅇ-’을 가졌는데 17세기부터는 ‘딜ㅇ-’ 대신 ‘딜ㄹ-’로도 나타나며 18세기부터는 ‘딜ㄹ-’로만 나타난다. 한편 구개음화를 겪은 어형인 ‘지르다’가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19세기까지 이어진다. 이후 20세기부터는 어두에서 경음화를 겪은 ‘찌르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디-, 디르-, 딜ㅇ-, 딜ㄹ-, 지르-, 질ㄹ-
세기별 용례
15세기 : ((디-, 디르-, 딜ㅇ-))
罪人 모 디며 시혹 입 고 디며 ≪1459 월석 21:43ㄴ
病을 어더 漸漸 아니야 믄득 어두미 갈로 디르 야 가과 녑과  안히  알파 ≪1466 구방 상:18ㄴ
셔로  번 티고   거 낫라  번 디라1598 무예제보 46ㄴ-47ㄱ
그 각시 하 울워러 한숨 디코 머리 딜어 죽거 도기 싀어미도 주기디 아니니라 ≪1460년경 삼강-런던 열:8
16세기 : ((딜ㅇ-))
더블어 淖齒를 텨 딜어 죽이니라 ≪1588 소언 4:34ㄱ
17세기 : ((디-, 디르-, 딜ㅇ-, 딜ㄹ-))
도곤 혹  머리 티며 혹   디고 당파 도긔  지라 ≪1612 연병 3ㄱ
도적이 시러곰 머리를 버히디 못고 를 디르고 가다 연이 주검을 져 뫼헤 여와 ≪1617 동신속 열8:1ㄴ≫
쟈근 도 리 귿틀 딜어 피 내여 라 낫마곰 비븨여 ≪1608 언두 하:28ㄴ
창을 빋기고 돌딘야 두 사을 딜러 주기고 죽다 ≪1617 동삼 충:2ㄴ≫
18세기 : ((디-, 디르-, 딜ㄹ-, 지르-, 질ㄹ-))
矛 槍이오 盾은 防牌니 창으로 사을 디려 거든 방패로 막음이니 ≪1737 어내 1:13ㄴ
槍 창으로 디르다 圍着 에우다 ≪1778 방유 유부:11ㄴ
刎頸은 목을 딜으미니 사괴야 비록 목을 딜러도 앗기디 아니홈을 니이라 ≪1737 어내 2:77ㄱ
殺他 죽이다 刺了 지르다 砍了 버히다 ≪1790 몽해 상:35ㄱ
19세기 : ((디르-, 딜ㄹ-, 지르-))
활활여 냥인 칼날보담 들고 디르 곳 마암과 령혼이며 골졀과 골슈거지 쳐 ≪1887 성전 히브리서 4:12
이에 스스로 멱 딜러 죽거 부ㅣ 그 주검을 가져 ≪1832 십구 1:74ㄱ
옥졸을 명여 족 칼노 그 머리 지르니 피 기 길나마 가 쥭은지라 ≪1852 태상 4:58ㄴ

관용구·속담(3)

관용구찌르고 들어가다
활쏘기에서, 활쏘기를 처음에는 거절하였다가 겨루는 날에 추가로 응하다. 이때는 맞은 화살의 반 획을 감한다.
관용구찔러 피를 내다
공연히 덧들여서 새삼스러운 일을 저지르다.
  • 가만히 있지 괜히 찔러 피를 내느냐?
속담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도무지 빈틈이 없고 야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