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노타발음 듣기]
활용
놓아[노아발음 듣기](놔[놔ː발음 듣기]), 놓으니[노으니발음 듣기], 놓는[논는발음 듣기], 놓소[노쏘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을】
「009」잡거나 쥐고 있던 물체를 일정한 곳에 두다.
책상 위에 책을 놓다.
나는 잠든 아이의 머리맡에 선물을 조심스레 놓았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두다
지역어(방언)
낳다(경남), 비치다(제주)

역사 정보

놓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놓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놓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놓-'으로 나타나며 종성 'ᄒ'이 후행하는 음절의 초성으로 연철된다. 'ᄀ, ᄃ, 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놓-'으로 나타나지만, 종성 'ᄒ'은 후행하는 어미의 초성과 축약되어 표기된다. 'ᄂ'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녿-'으로 나타나거나 후행하는 'ᄂ'에 동화되어 '논-'으로 나타난다. 17세기 이후 종성 'ᄃ'을 'ᄉ'으로 표기하던 당시의 경향에 따라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놋-'으로 나타나게 된다. 17세기의 '놋ᄒ-'과 18세기의 '녿ᄒ-'은 중철 표기이다. 19세기의 '노-'는 '놓-'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종성 'ᄒ'이 탈락한 것을 반영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놓-, 녿-, 논-, 놋-, 놋ㅎ-, 녿ㅎ-, 노-
세기별 용례
15세기 : (놓-, 녿-, 논-)
聖武를 뵈요리라 하히 님금 달애샤 열 銀鏡을 노시니다1447 용가 46
우리 예 노코 보 아니 됴니여 ≪1447 석상 3:15ㄱ
내 이제 너를 녿노니 들 조차 가라 ≪1459 월석 13:19ㄱ-19ㄴ
보 버드를 뵈아 여희요 알오  논 와 다 도다 ≪1481 두시-초 7:11ㄱ
16세기 : (놓-)
의 노하든 지븨 와 밥 머기 고 ≪1510년대 번노 상:3ㄱ
그 位예 도라가샤  노티 몯 더시다 ≪1518 번소 3:5ㄱ
17세기 : (놓-, 논-, 놋-, 놋ㅎ-)
밥 우희 노하  닉거든 디룡을 업시고 아 주어 머기라 ≪1608 언두 상:8ㄴ
원컨댄 子 노티 마롤 디어다 ≪1613 시언 3: 19ㄱ
수마다 츙통 논니와 밋 거 군의 승츙통 됴츙 노 사히 다 나셔 홋초로 펴고 ≪1612 연병 23ㄴ
山을 만나 길흘 열고 믈을 만나 리 놋다 니라 ≪1677 박언 중:33ㄱ
放軍 軍士 놋타1690 역해 상:21ㄱ
18세기 : (놓-, 녿ㅎ-, 놋-, 놋ㅎ-)
심 者 사의 子弟 노화 그 嬉戱無度홈을 任니 ≪1721 오륜전비 1:18ㄱ
쥬금의 범 쟈 혹 금령이 눅음을 저허야 일졀 노치 아니얏더니 ≪1757 계주 20ㄱ
分張은 고로게 녿탄 말이라 ≪1737 여사 2:10ㄴ
잡으며 놋 이에 셩과 광이 판연니 ≪1761 경문 33ㄴ
放鷹 매 놋타1748 동해 하:12ㄱ
19세기 : (놓-, 놋-, 놋ㅎ-, 노-)
여믈 담 구유를 그 앏픠 노하  머기 더라 ≪1832 십구 2:115ㄱ
이 셰 가지를 노치 아니 리권을 가히 회복지라 ≪1883 이언 1:24ㄴ
플무 놋 법과 긔계를 짓고 깁  등 를 화 닉이고 ≪1883 이언 2:43ㄴ
사의 잡은 고기와 즘을 셔 놋키 만히 니 ≪1852 태상 5:35ㄴ
과연 셰상 을 물에 다리를 노아 건네미요 ≪1880 삼성 배심성훈:5ㄴ
이 사 버리고 바라바 노와 우리 주소셔 니 ≪1887 성전 누가복음 23:18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