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주무르다

- 활용
- 주물러[주물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손으로 어떤 물건이나 몸뚱이 따위를 쥐었다 놓았다 하면서 자꾸 만지다.
- 그는 호주머니 속의 호두를 주물러 본다.
- 이것저것 주무르지만 말고 얼른 골라라.
- 왈쇠는 재영이의 팔다리를 주무르고 두드리고 하였다.≪김동인, 젊은 그들≫
- 사람들은 방금 내던져진 젊은이한테로 달려들어 옷을 벗기며 맞은 데를 주무르기 시작했다. 어깨며 등짝, 엉덩이를 주물렀다.≪송기숙, 녹두 장군≫
- 회원들은 웅덩이로 가서, 흙과 거름을 주무르던 손을 씻고, 논두렁에 가 둘러앉아서 점심을 먹는다.≪심훈, 상록수≫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쥐므르다/주므르다(15세기~19세기)>주무르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주무르다’의 옛말인 ‘쥐므르다’, ‘주무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주므르다’는 ‘쥐므르다’의 제1음절 모음 ‘ㅟ’[uy]에서 반모음 ‘ㅣ’[y]가 탈락하여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쥐므르다’, ‘주므르다’는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쥐므르-’, ‘주므르’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쥐믈ㄹ-’, ‘주믈ㄹ-’로 이형태 교체를 하는 ‘르’ 불규칙 동사였다. ‘주므르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ㅁ’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 모음화 됨에 따라 19세기 문헌에 ‘주무르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19세기 문헌에 보이는 ‘쥐믈너’, ‘주믈너’, ‘주물너’와 같은 어형은 ‘쥐믈러’, ‘주믈러’, ‘주물러’로 나타나야 할 것을 어중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당시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쥐믈ㅇ-, 주므르-, 쥐믈ㄹ-, 쥐물ㄹ-, 쥐무로-, 쥐물ㄴ-, 주믈ㄴ-, 주물ㄴ-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