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조ː타

- 활용
- 좋아[조ː아



- 품사
- 「형용사」
- 「001」대상의 성질이나 내용 따위가 보통 이상의 수준이어서 만족할 만하다.
- 품질이 좋다.
- 그는 집안이 좋다.
- 누나는 음식 솜씨가 좋다.
- 길 양쪽으로 모양 좋게 버드나무가 늘어서 있다.
- 혜진이는 좋은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 썰렁한 야기를 몰아내며 화톳불들이 불땀 좋게 활활 타올랐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요새 군밤 좋더라. 너 좀 사 오겠니?≪현덕, 남생이≫
- 아버지는 형제 중 가장 체격이 좋고 잔병 한 번 치른 일 없는 건강체였다고 한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역사 정보
둏다(15세기~19세기)>죻다(18세기~19세기)>좋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좋다’의 옛말인 ‘둏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문헌에 연결어미 ‘-아’와 결합할 때 ‘됴야’로 나타난 예가 있음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까지는 ‘둏다’와 함께 ‘됴다’ 형태도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근대국어 시기에 ‘ㅣ’ 모음이나 반모음 y 앞에서 ‘ㄷ, ㅌ’이 ‘ㅈ, ㅊ’으로 변하는 ㄷ구개음화가 일어나 ‘둏다’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여 18세기에 ‘죻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또한 근대국어 시기에 치경음이었던 ‘ㅈ, ㅊ’이 구개음으로 변하여 ‘죠’와 ‘조’의 발음이 같아지면서 19세기에는 ‘좋다’ 형태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17~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둇-, 둇ㅎ-, 좃ㅎ-’은 ‘둏->죻-’의 음절말 자음 ‘ㅎ’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또한 15~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둏-’의 음절말 자음 ‘ㅎ’이 종성 위치에서 ‘ㄷ’으로 소리가 중화되고, ‘ㄷ’이 선어말어미 ‘--’ 앞에서 ‘ㄴ’으로 비음화된 것을 표기에 반영한 ‘됸-’의 예도 보인다. 중세국어 이래로 ‘둏다’는 “좋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로서의 용법과 “좋아지다, (병이) 낫다”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로서의 용법을 지니고 있었다. 18세기까지 형용사 ‘둏다’와 자동사 ‘둏다’가 함께 쓰이다가 19세기에 자동사의 의미는 사라지고 형용사로만 쓰이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둏-, 됴-, 둇-, 둇ㅎ-, 죻-, 좋-, 좃ㅎ-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1)
- 속담좋은 날에 랭수를 끼얹다
- 경사스러운 날을 맞는 사람들의 마음을 잡치게 만드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
-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루하게 끌면 싫어진다는 말. <동의 속담> ‘좋은 노래도 장 들으면 싫다’
- 속담좋은 노래도 장 들으면 싫다
-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루하게 끌면 싫어진다는 말. <동의 속담> ‘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
- 속담좋은 농사꾼에게(는) 나쁜 땅이 없다
- 열심히 농사를 짓는 사람은 아무리 나쁜 땅을 만나도 탓함이 없이 정성껏 가꾸어 소출이 많다는 뜻으로, 모든 일은 제가 하기에 달렸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좋은 말[소리]도 세 번 하면 듣기 싫다
- ‘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의 북한 속담.
- 속담좋은 일에는 남이요 궂은일에는 일가다
- 좋은 일이 있을 때에는 모르는 체하다가 궂은일을 당하게 되면 일가친척을 찾아다닌다는 말.
- 속담좋은 일에 마가 든다
- 좋은 일에는 흔히 마희(魔戲)가 들기 쉽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훼방꾼이 나타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좋은 일은 맞지 않아도 나쁜 일은 잘 맞는다
- 점을 칠 때 좋은 일은 맞지 아니하는데 나쁜 일은 꼭 들어맞는 것같이 느껴진다는 말.
- 속담좋은 짓은 저희들끼리 하고 죽은 아이 장사는 나더러 하란다
- 나쁜 짓을 해서 이익은 자기가 차지하고 그것에 대한 벌은 남보고 받으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도둑질은 내가 하고 오라는 네가 져라’
- 속담좋은 친구가 없는 사람은 뿌리 깊지 못한 나무와 같다
- 사람에게 좋은 친구가 없으면 위급한 때에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잘못될 수 있으므로 좋은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
- 속담좋을 땐 외삼촌 하고 나쁠 땐 돌아선다
- 제게 이로울 때는 아주 다정스러운 체하다가도 제게 불리할 때에는 싹 돌아서서 모르는 체한다는 뜻으로, 인간의 도리를 떠나 이해관계에 따라 태도를 달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