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조ː타발음 듣기]
활용
좋아[조ː아발음 듣기], 좋으니[조ː으니발음 듣기], 좋소[조ː쏘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대상의 성질이나 내용 따위가 보통 이상의 수준이어서 만족할 만하다.
품질이 좋다.
그는 집안이 좋다.
누나는 음식 솜씨가 좋다.
길 양쪽으로 모양 좋게 버드나무가 늘어서 있다.
혜진이는 좋은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썰렁한 야기를 몰아내며 화톳불들이 불땀 좋게 활활 타올랐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요새 군밤 좋더라. 너 좀 사 오겠니?≪현덕, 남생이≫
아버지는 형제 중 가장 체격이 좋고 잔병 한 번 치른 일 없는 건강체였다고 한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관련 어휘

반대말
나쁘다
지역어(방언)
돟다(평안), 둏다(함북)
옛말
둏다

역사 정보

둏다(15세기~19세기)>죻다(18세기~19세기)>좋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좋다’의 옛말인 ‘둏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문헌에 연결어미 ‘-아’와 결합할 때 ‘됴야’로 나타난 예가 있음으로 미루어 보아 16세기까지는 ‘둏다’와 함께 ‘됴다’ 형태도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근대국어 시기에 ‘ㅣ’ 모음이나 반모음 y 앞에서 ‘ㄷ, ㅌ’이 ‘ㅈ, ㅊ’으로 변하는 ㄷ구개음화가 일어나 ‘둏다’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여 18세기에 ‘죻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또한 근대국어 시기에 치경음이었던 ‘ㅈ, ㅊ’이 구개음으로 변하여 ‘죠’와 ‘조’의 발음이 같아지면서 19세기에는 ‘좋다’ 형태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17~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둇-, 둇ㅎ-, 좃ㅎ-’은 ‘둏->죻-’의 음절말 자음 ‘ㅎ’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또한 15~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둏-’의 음절말 자음 ‘ㅎ’이 종성 위치에서 ‘ㄷ’으로 소리가 중화되고, ‘ㄷ’이 선어말어미 ‘--’ 앞에서 ‘ㄴ’으로 비음화된 것을 표기에 반영한 ‘됸-’의 예도 보인다.
중세국어 이래로 ‘둏다’는 “좋다”의 의미를 갖는 형용사로서의 용법과 “좋아지다, (병이) 낫다”의 의미를 갖는 자동사로서의 용법을 지니고 있었다. 18세기까지 형용사 ‘둏다’와 자동사 ‘둏다’가 함께 쓰이다가 19세기에 자동사의 의미는 사라지고 형용사로만 쓰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둏-, 됴-, 둇-, 둇ㅎ-, 죻-, 좋-, 좃ㅎ-
세기별 용례
15세기 : (둏-)
그 太子ㅣ 端正고 性이 됴하 瞋心 아니 일후믈 忍辱이라 시니라 ≪1447 석상 11:18ㄱ
利樂 됴코 즐거 씨라 ≪1447 석상 9:2ㄴ
一切 믜 相이 업서 입시울와 혀와 엄과 니왜 다 됴며 고히 길오 놉고 고며 치 두렵고 며 ≪1447 석상 19:7ㄴ
16세기 : (둏-)
 됴신 얼우신하 어듸 브리여 겨신고 ≪1510년대 번박 58ㄱ
17세기 : (둏-, 둇ㅎ-, 둇-)
뎌 官人은 이 올 十九 歲오 文章이 됴코 여러가지 才藝오 ≪1677 박언 상:42ㄱ
요이 서 아 사이 와 니되  갑시 요이 됴니 이  등엣 은 열닷 냥 우흐로 고 ≪1670 노언 상:8ㄱ
톳 간이 역 후에 안질에 장 됴니라1608 언두 하:60ㄴ
몌조 브텨 가져오니 장 둇타1677 박언 중:17ㄴ
일은 구룸 브트미 됴오니 籃島지 브트실까 아다와 이다 ≪1676 첩신-초 6:13ㄱ
18세기 : (둏-, 둇-, 둇ㅎ-, 죻-)
만일 이 음이 됴코 실이 됴흔 사이면 ≪1721 오륜전비 2:42ㄴ
몸 길의 닐굽자 두치시고 입이 方졍시고 머리털이 됴시고 能히 쥬易을 외오시며 ≪1737 어내 2:36ㄴ
놀고쟈 오니 엇더오리잇가 어와 어와 장 둇외1748 첩신-개 9:1ㄴ
古人이 니로 宰相의 에  젓기 둇타 더니 이 相公의 에 진실로  젓기 됴흐리로다 ≪1721 오륜전비 8:5ㄱ
십실 고을의 반시 츙신이 이시나 모의  죠하 홈만 지 못리라 ≪1746 자성 수서:1ㄱ
일 갑슬 듯보아 만일 갑시 죠커든 즉시 고 ≪1795 노언-중 상:64ㄴ
19세기 : (둏-, 둇ㅎ-, 죻-, 좋-, 좃ㅎ-)
녀름 오 곰팡이 슨  은 즙과 마 즙이 됴코 동아즙의 가 면 업고 ≪1869 규합 28ㄱ
됴하 듯다 好聽 ≪1880 한불 498
오 고춍 슈 삼 쳔이 잇스니 그  파 쓰미 둇타 거 ≪1852 태상 2:65ㄱ
이런고로 즁국의셔 형셰 말기 죠하  쟈 얽이기 젼쥬야 ≪1883 이언 3:16ㄱ
싄 마시 젹거든 오미 국을 간 치면 죠코1869 규합 18ㄴ
셰샹에 조코 흉 물건이 다 잇니 ≪1894 천로 2:106ㄴ
더욱 좃타 尤好 ≪1895 국한 77
15세기 : (둏-, 됸-)
王이 좌시고 病이 됴샤 이 말 드르시고 놀라 臣下려 무르샤 ≪1447 석상 11:21ㄱ
王이 깃거 닐오 내 病을 됴케 씨언 ≪1447 석상 24:50ㄴ
그리 혼 다로 病이 됴하 열두  더 살 일후믈 續命幡이라 니라 ≪1459 월석 25:93ㄱ
時節이 서늘야 病이 져기 됸다1481 두시-초 10:30ㄱ
16세기 : (둏-, 됸-, 됴-)
아 病이 즉제 됴하 나히 아 다시도록 사니라 엿 紅門 셰니라 ≪1514 속삼 효:5ㄴ
다가 야 잠 먹고  됴커든  마롤디니라 ≪1518 번소 7:18ㄱ
醫員이 닐오되 거머리로 피 리면 됴리라 야늘 ≪1514 속삼 효:5ㄱ
므레 달혀 닷 되 이베 브면 즉재 됸니라1545 우마 11ㄱ
하 이제 다 됴야 겨신가 몯야 겨신가 ≪1510년대 번박 38ㄱ
네 그 져믄리 되야기 내여 잇더니 나 올 제 다 됴야 암그럿더라 ≪1510년대 번노 하:4ㄴ
17세기 : (둏-, 둇-, 됸-)
니 디고 입시우리 허여디니라도 약 면 다 됴커니와 오직 곳 블근 뎜 곳 도면 몯 고티니라 ≪1608 언두 하:51ㄱ
다리예  버혀 약에  받오니 병이 즉시 됴하 여  디나셔 죽으니라 금 샹됴애 졍문시니라 ≪1617 동신속 효8:35ㄴ≫
코 가온대 부러 녀허 근 믈을 흘려 내면 즉제 둇니라17세기 마경 상:115ㄴ
식  겨집이 음식 슬허 거든 오직 제 각 거슬 머기면 반시 됸니라 ≪1608 태산 13ㄱ≫
18세기 : (둏다)
 병 됴며 오래 살 말을란 브 니르디 말라 ≪1776 염불-해 38ㄱ≫
어젯 疾이 오 됴커니 엇디 弔티 아니리오 ≪1749 맹율 2:46ㄴ

관용구·속담(11)

속담좋은 날에 랭수를 끼얹다
경사스러운 날을 맞는 사람들의 마음을 잡치게 만드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루하게 끌면 싫어진다는 말. <동의 속담> ‘좋은 노래도 장 들으면 싫다
속담좋은 노래도 장 들으면 싫다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루하게 끌면 싫어진다는 말. <동의 속담> ‘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
속담좋은 농사꾼에게(는) 나쁜 땅이 없다
열심히 농사를 짓는 사람은 아무리 나쁜 땅을 만나도 탓함이 없이 정성껏 가꾸어 소출이 많다는 뜻으로, 모든 일은 제가 하기에 달렸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좋은 말[소리]도 세 번 하면 듣기 싫다
좋은 노래도 세 번 들으면 귀가 싫어한다’의 북한 속담.
속담좋은 일에는 남이요 궂은일에는 일가다
좋은 일이 있을 때에는 모르는 체하다가 궂은일을 당하게 되면 일가친척을 찾아다닌다는 말.
속담좋은 일에 마가 든다
좋은 일에는 흔히 마희(魔戲)가 들기 쉽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훼방꾼이 나타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좋은 일은 맞지 않아도 나쁜 일은 잘 맞는다
점을 칠 때 좋은 일은 맞지 아니하는데 나쁜 일은 꼭 들어맞는 것같이 느껴진다는 말.
속담좋은 짓은 저희들끼리 하고 죽은 아이 장사는 나더러 하란다
나쁜 짓을 해서 이익은 자기가 차지하고 그것에 대한 벌은 남보고 받으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도둑질은 내가 하고 오라는 네가 져라
속담좋은 친구가 없는 사람은 뿌리 깊지 못한 나무와 같다
사람에게 좋은 친구가 없으면 위급한 때에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잘못될 수 있으므로 좋은 친구를 많이 사귀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
속담좋을 땐 외삼촌 하고 나쁠 땐 돌아선다
제게 이로울 때는 아주 다정스러운 체하다가도 제게 불리할 때에는 싹 돌아서서 모르는 체한다는 뜻으로, 인간의 도리를 떠나 이해관계에 따라 태도를 달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