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세우다발음 듣기]
활용
세우어[세우어발음 듣기](세워), 세우니[세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을】
「001」줄이나 주름 따위를 두드러지게 하다. ‘서다’의 사동사.
바지에 줄을 세워 다리다.

역사 정보

셰오다(15세기~19세기)>셰우다(16세기~19세기)>세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세우다’의 옛말인 ‘셰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셰오다’는 동사 ‘셔-’에 사동접미사 ‘-이-’와 ‘-오-’가 결합한 것이다. ‘셔다’의 사동사로는 ‘셔-’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셰다’도 존재하였는데, 중세국어 시기에는 ‘셰다’가 주로 쓰이다가 근대국어 이후로는 ‘셰오다’ 쪽이 더 많이 쓰이게 되었다. 16세기에는 ‘셰오다’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뀐 ‘셰우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이중모음 ‘ㅔ’[əy]가 [e]로 단모음화하면서 삼중모음이었던 ‘ㅖ’[yəy]는 이중모음 [ye]로 변화하였다. 자음 ‘ㅅ’ 뒤에서 반모음 ‘ㅣ’[y]가 탈락하는 경향에 따라 ‘셰’는 ‘세’로 변화하면서 19세기부터 현대 국어와 같은 ‘세우다’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셰오다, 셰우다, 세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셰오다)
붑 텨 出令샤 悉達 太子 셰와라 시니 ≪1447 석상 3:6ㄱ
16세기 : (셰우다)
몸을 셰워 道를 行야 일홈을 後世예 베퍼  父母 현뎌케 홈이 효도 이니라 ≪1588 소언 2:29ㄱ
17세기 : (셰오다, 셰우다)
오직 文潞公이 가廟 西京의다가 셰오고 다 사은 다 셰오디 아니 故로 ≪1632 가언 1:8ㄱ
德을 만일 치디 아니면  그 몸을 셰오디 몯 거신 고로 ≪17세기 여훈 상:36ㄴ
당을 제 집의 셰우고 아 나죄로 뵈고 ≪1617 동신속 효6:41ㄴ≫
竪旗 旗 셰우다1690 역해 상:20ㄱ
18세기 : (셰오다, 셰우다)
처에 孫堅을 조차 산도적을 파야 공 크게 셰오고 후에  孫策을 조차 여러 번 공 셰워셔1774 삼역 3:1ㄴ
므릇 女子 되오매 몬져 몸 셰오믈 學 거시오 몸 셰올 법은 오직 淸貞을 힘 니 ≪1737 여사 2:1ㄴ-2ㄱ
몸을 편안케 려커 집을 짓고 몸을 빗나게 려커 德을 셰우라 미라 ≪1737 여사 3:10ㄴ
竪桅 돗대 셰우다 ≪1775 역해-보 46ㄱ≫
19세기 : (셰오다, 셰우다, 세우다)
이륜을 발켜  사의 벼리 셰오시고1882 척사윤음 2ㄱ
셰우다 立 ≪1880 한불 394
고로온 이 구졔야 공을 셰우면 이에 물이 변야 승텬 길이 되니 ≪1865 주년 44ㄴ
교우 안위시고 공로 만히 세우샤1865 주년 79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