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적씨다발음 듣기]
활용
적시어[적씨어발음 듣기/적씨여발음 듣기](적셔[적쎠발음 듣기]), 적시니[적씨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물 따위의 액체를 묻혀 젖게 하다.
물을 엎질러서 바지를 적셨다.
영특한 짐승은 화승 냄새를 맡고는 불을 끄려고 꼬리에 물을 적셔서 그렇게 휘둘렀다는 것이다.≪이기영, 봄≫
하염없이 쏟아지는 눈물이 중전의 옷깃을 적시고도 남았다.≪박종화, 금삼의 피≫
고름이 흘러 옷이며 베개를 적시는데 어떤 때는 한 말도 되어 보였다.≪한무숙, 만남≫
뭔가 끈끈한 게 그의 무릎을 적시는 것 같은 느낌에 그는 정신이 났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역사 정보

저지다(15세기~16세기)>적시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적시다’의 옛말 ‘저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 이후에 제2음절의 ‘ㅈ’ 자리에 ‘ㄱㅅ’이 나타난 변화된 형태가 나타났다. 즉 ‘적시다’가 ‘저지다’의 자리를 대체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저지다, 적시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저지다))
모 젼로 能히 愛水 내야 業을 저지며 生 저지니1461 능엄 8:69ㄱ
16세기 : ((저지다))
닐와며 힘싀우며 저지 며 야 어디리 도게 ≪1518 번소 9:14ㄱ
17세기 : ((적시다))
 칼  지거미믈로 드시 야 치 적시고 지남셕 달힌 믈  잔을 머그면 ≪1608 언태 25ㄴ
18세기 : ((적시다))
네 을 열어 내 을 적시라 시니라 ≪1737 어내 2:86ㄴ
19세기 : ((적시다))
발 의지여 울어 눈물노 그 발 적시고 멀이 노써 문며 입 그 발에 졉고 ≪1887 성전 누가복음 7:38

다중 매체 정보(1)

  • 적시다
    적시다

    적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