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자피다발음 듣기]
활용
잡히어[자피어발음 듣기/자피여발음 듣기](잡혀[자펴발음 듣기]), 잡히니[자피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004」붙들리다. ‘잡다’의 피동사.
일단 경찰의 포위망에 잡히면 도망치기 어렵다.
경찰에게 잡힌 도둑은 순순히 범행 사실을 시인했다.
옥사 안이 벌컥 뒤집힌 이유는 잡혀 온 사람들의 숫자 때문이 아니다.≪유현종, 들불≫
하나, 둘, 밤빛에 보아도 포졸들에게 잡혀서 끌려오는 사람들의 수가 무척 많아 보인다.≪유현종, 들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자피다(15세기~17세기)>잡피다(16세기~19세기)>잡히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잡히다’의 옛말인 ‘자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자피다’는 “잡다”의 뜻을 가진 ‘잡-’에 피동 접미사 ‘-히-’가 결합된 것이다. ‘자피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잡피다’로 중철되어 나타난다. 피동 접미사 ‘-히-’를 밝혀 분철한 ‘잡히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한편 근대 국어 시기에 보이는 ‘잡피우다’, ‘잡히이다’ 등은 이미 피동사인 ‘잡피-’, ‘잡히-’에 ‘-우-’나 ‘-이-’를 덧붙인 것인데 이들이 피동사인 것을 의식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현대 국어에서는 ‘-우-’가 사동 접미사로 쓰이는데 ‘잡피우다’의 경우 피동사에 쓰였다는 점이 특이하다.
이형태/이표기 자피다, 잡피다, 잡피우다, 잡히이다, 잡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자피다))
王 자피니1459 월석 10:25ㄴ
16세기 : ((자피다, 잡피다))
친히 수져를 자피며 몬져 맛보아 ≪1518 이륜-옥 15ㄴ
세 번 잡피면1579 경민-중 17ㄱ
17세기 : ((자피다, 잡피다, 잡히이다))
지아비 범의게 자피미 되거 ≪1617 동신속 열2:9ㄴ≫
긔운이 박의 잡피며17세기 마경 상:62ㄱ
圖謀 일을 사의게 잡히이다1690 역해 하:53ㄱ
18세기 : ((잡피다, 잡히이다, 잡히다))
나히 잡피면 법은 결단코 샤치 못려니와 ≪1762 어경 4ㄱ
됴흔 거슬 잡히이고1774 삼역 10:20ㄴ
도적의게 잡히니 님이 스로 결박여 ≪1797 오륜 兄05ㄴ
19세기 : ((잡피다, 잡피우다, 잡히이다, 잡히다))
잡펴갈 여 ≪1887 성전 마태복음 10:19
이 사이 유 사의게 잡피운 바 되여 ≪1887 성전 사도행전 23:27
내가 려와 잡히임을 닙고 ≪1892 성직 4:34ㄱ
사의게 잡히지 아니케  ≪1852 태상 5:37ㄱ
위로